기술동향

한중 과학기술 협력 정보 및 교류 플랫폼의 선두에 앞장서겠습니다!

동향 게시판

게시글 제목, 작성일, 조회수, 내용을 포함합니다.

제3극 지역 주요 하류 유출량 관측망 구축
  • 등록일2021.06.09
  • 조회수293




중국과학원 칭짱고원연구소 환경변화·다권층프로세스연구팀의 Wang Lei(王磊) 연구원은 중국과학원 지리과학·자원연구소 등 여러 빙하권수문연구팀과 공동으로 제3극 지역 주요 하류의 산어귀 유출 관측망을 구축하여 국경을 가로지르는 하천 데이터를 획득함으로써 하천 유출량의 수치 시뮬레이션과 원격감지 반전을 위한 효과적인 검증 데이터를 제공했다. 또한, 제3극 하천의 일별 유출량 반전에 적합한 원격감지 데이터 기반의 방법 체계를 구축하고 보완하였다. 아울러 야루짱부강(雅魯藏布江) 주류 및 지류(라싸강)에서 효과적으로 검증되었다. 빙하권수문 모델 WEB-DHM(Water and Energy Budget-based Distributed Hydrological Model)을 통해 창장강(長江) 발원지역, 황허강(黃河) 발원 지역 및 야루짱부강 등 제3극 지역 주요 하류의 역사적 유출 변화를 양적 분석했다. 해당 연구 성과는 국제수문기상학술지 “Bulletin of the American Meteorological Society”에 게재되었다.

최근 수십년간 급속한 지역 온난화로 인해 빙하권(빙하, 적설 및 동토 등)의 용해가 가속화되고 인류 활동의 간섭이 증가함에 따라 제3극 지역 하천 유출이 급격히 변화되고 있다. 이는 지역 수자원의 시공간적 분배에 뚜렷한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지역 생태환경, 하류 주민의 생산생활과 사회경제 발전을 위협하고 있다. 제3극 지역(갠지스강, 야루짱부강, 인더스강, 창장강, 황허강, 누장강, 란창강, 아무다리야강, 시르다리야강, 타리무하, 이리하, 헤이허강, 수러하 등)의 산어귀 총 유출량을 모니터링 및 평가하고, 과거와 미래 산어귀 총 유출량의 장기적인 변화를 시뮬레이션하며, 강수 변화, 빙하 저하, 적설 용해 및 동토 변화 등 다양한 요인이 총 유출량 변화에 미치는 영향과 기여를 양적 분석하고, 서풍-계절풍 상호작용에 대한 산어귀 총 유출량 변화의 반응 메커니즘을 연구하는 것은 과학적 중요성뿐만 아니라 전략적 중요성도 가진다.

연구팀은 지상 관측, 원격감지 반전 및 수치 시뮬레이션 등 방법을 이용하여 최초로 제3극 지역 13개 주요 하류의 산어귀 총 유출량(2018년, 6,560±230억 m3)을 계산했다. 다양한 하류의 산어귀 연간 유출량은 18억~1,760억 m3로 큰 차이가 있으며 인도 계절풍 지역의 하류 연간 유출량은 서풍 지역의 하류보다 크다.

칭짱고원 남부에서 계절풍의 지배를 받는 하천(야루짱부강, 갠지스강, 누장강 및 란창강 등)은 제3극 지역 13개 하천의 산어귀 총 유출량(2018년)의 61.9%를 차지하며 그중, 갠지스강과 야루짱보강은 각각 26.9%와 25.0%를 차지한다. 북부와 서부에서 서풍의 지배를 받는 하천(인더스강, 아무다리야강, 시르다리야강, 이리하, 타리무하, 수러허 및 헤이허강)는 총 유출량의 30.6%를 차지하며 그중, 수러허의 유출량은 약 18억 m3로 13개 하류에서 가장 적다. 서풍-계절풍 과도 지역에 위치한 황허강과 창장강의 총 유출량은 490억 m3로 7.5%에 불과하다.

창장강 발원 지역에서 고해상도(5Km, 시간마다 측정)의 장기 빙하권수문 시뮬레이션을 수행한 결과, 해당 유역은 1981년-2018년의 강수량과 증발량이 뚜렷하여 증가하여 산어귀 유출량(즈먼다 수문소)은 크게 증가하지 않았다. 적설과 빙하의 용해량은 총 유출량에 1/4 기여한 반면 토양 동결-해빙 과정은 주로 유출량의 계절 분포에 영향을 미쳤다.

해당 성과는 제3극 지역 물순환 연구를 위한 중요한 지상 관측 데이터와 선진적인 유출 시뮬레이션 기술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기후 변화 배경에서 제3극 지역 지표 수자원에 대한 인식과 이해를 향상시켰다.

정보출처 : https://tech.gmw.cn/2021-06/02/content_34893724.htm
  • 첨부파일 첨부된 파일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