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페이퍼 2023.3호
한·중 CCUS 기술동향 비교
한국과 중국은 CCUS 기술분야에서 다양한 연구결과를 창출하고 있다.
향후 양국이 협력하여 분리정제기술과 융합된 CCUS기술을 확보하여 녹색기술 선두국가로 나아가는게 필요하다.
이슈페이퍼 2023.2호
<디지털중국>과 <국유기업개혁>, 그리고 ‘십년마일검’
첨단기술 분야에서 미국으로부터 강한 규제와 압박을 받고 있는 중국은 ‘차보즈 기술’(목 죄는 기술) 문제를 ‘십년마일검’의 중장기 전략으로 대응하고 있다. <디지털 중국> 추진과 <국유기업 개혁>도 ‘십년마일검’의 일환으로 볼 수 있는데 궁극적으로는 우리에게도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이에 대한 정밀한 내용파악과 분석이 필요하다.
자세히 보기
이슈페이퍼 2023.1호
한·중·일 과학기술협력을 위한 미래 설계
한중일 3국은핵심 공동연구와 연구자간 교류 협력을 통해
글로벌 사회에 기여할 수 있는 과학기술 교류 협력을 보다 강화해 나가야 한다.
이슈페이퍼 2022.4호
중국의 기술거래 현황 및 기술협력 방향
중국의 기술시장 규모는 작년 한해 총 50만건의 거래를 성사시켰으며,
특허권 양도, 특허권 실시, 비밀계약등 위주로 진행되고 있다. 해외외국기업과의 거래도 빠르게 증가되고 있어,
향후 중국과의 기술 거래를 위한 중국 현지 리빙랩 역할 및 국내 온라인 플랫폼 개발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이슈페이퍼 2022.3호
중국 양자정보기술 연구개발 동향
양자혁명 2.0시대에 중국은 국가안보와 미래를 좌우할 양자정보기술 선진강국으로 급부상하면서
2025년에 이르러 중국내 양자통신시장 규모 1천억 위안(약 19조160억 원) 을 돌파할 전망이다.
과학기술 주간동향
- 특집기사 ‘2023 첨단 연구’ 및 ‘2023 첨단 연구 활성화 지수’ 공개 □ 첨단과학 11개 분야 중 5개 분야에서 중국이 1위를 차지(12.2) ○ 중국과학원 주도로 ‘2023 첨단 연구’ 및 ‘2023 첨단 연구 활성화 지수’ 보고서 발표 * 중국과학원 과기전략자문연구원, 중국과학원 문헌정보센터, 커룽웨이안(科睿唯安)컨설팅사 공동 발표 - ‘2023년 첨단 연구’는 정보과학 등 집중도가 높은 11개 과학 분야 중 연구가 활발한 110개 첨단과학과 18개 신흥 연구 방향을 선정하여 과학 발전의 최신 추세와 특징을 반영 - ‘2023 첨단 연구 활성화 지수’ 는 주요국의 연구 활성화 수준을 비교하였는데, 중국은 농업과학·식물학·동물학, 생태환경과학, 화학·소재과학, 정보과학, 경제학·심리학·기타사회과학 등 5개 분야 연구 활성화 지수가 세계 1위이고, 미국은 나머지 6개 분야에서 강점을 보임 * 전체 110개의 첨단과학과 18개의 신흥 연구 분야 중 미국은 69개(5.391%) 분야, 중국은 31개(24.22) 분야, 영국은 8개 분야, 독일은 7개 분야에서 연구 활성화 지수 순위가 가장 높음 ○ 전체 11개 분야 중 110개 첨단과학과 18개 신흥 연구 방향에서 상위 10위 연구 분야 선정 1) 임상의학 - 연구 활성화 상위 10위권은 종양 면역치료, 타깃성 치료·분자 특이성 PET 이미지, 유전질환 유전자치료, 코로나 관련 약물치료와 백신 평가 등 분야에 집중 - 특히 종양 면역치료와 타깃성 치료는 최근 수년간 비교적 높은 연구 활성도를 유지해왔으며, 올해도 핵심 이슈로 선정 2) 생명과학 - 선도적 유전자편집 기술, 신형 염기서열 분석 기술, 단백질 구조의 인공 지능 예측, 인간 게놈 전반의 범암 분석, 알츠하이머의 혈액 바이오마커, 엑소좀의 생물학적 기능, 신종 코로나바이러스(SARS-CoV-2) 감염 등 선정 3) 화학·소재 과학 - 주로 전기화학, 나노소재, 유기화학 및 신흥 융합 분야에 집중되었으며, 이중 유기화학에 속하는 인공분자기계와 신흥융합 분야에 속하는 기계화학은 두 번 연이어 선정 - 화학·소재과학 분야에서 올해 선정된 2개의 신흥 연구 방향은 모두 에너지 변환 및 저장과 관련됨 4) 농업과학·식물학·동물학 - 식품과학, 식물 면역 조절, 식물 비생물적 스트레스 반응 메커니즘, 식물 성장 및 발달 조절, 식물 게놈 및 동물 영양을 포함한 6개 분야에 집중 5) 생태·환경과학 - 주로 생태과학과 환경과학 분야에 집중되어 있고, 올해는 새로운 환경문제와 새로운 솔루션에 대한 연구 방향이 큰 주목을 받음 - 구체적으로 환경과학 분야 가장 큰 이슈는 미세 플라스틱, 기후변화, 신형의 수질오염 제어기술, 폐수 전염병 등 해당되고, 생태과학 분야는 생물다양성과 생태거버넌스 양대 분야 해당 6) 지구과학 - 지구과학은 관측기술에 크게 의존하는 분야로서, 올해 상위 10위권은 지리학, 대기과학, 행성 지질학 등 분야에 집중 - 대부분이 지구시스템 모델과 대지 관측기술 등 선진적인 방법과 모델을 사용하여 새로운 과학 발견을 촉진 7) 물리학 - 주로 응집물질 물리학, 이론 물리학, 고에너지 물리학, 광학 및 양자 물리학 분야에 집중 - 특히 광학 및 양자 물리 분야 이슈는 ‘AlGaN 심자외선 발광 다이오드’ 및 ‘이중 필드 양자 키 배분’ 방향이 각각 해당 8) 천문학·천체물리학 - 상위 10위권은 중력파 관측 및 이론, 원시 블랙홀, 우주 재이온화 기간 관측, 빠른 전파 폭발, 약한 중력 렌즈(WL) 조사, 끈 이론(string theory) 및 우주론, 은하 별 헤일로 등 분야에 집중 9) 수학 - 주로 물리 정보 신경망 확장, Onsage 추측의 증명, 비선형 시간 분수 반응-확산 방정식, 샘플 평균의 최적 추정 방법 연구 등 방향 해당 - 편미분 방정식의 특성과 해법에 대한 연구, 비선형 시스템 여구는 수년 동안 신흥 연구 방향으로 선정되어 왔으며, Onsage 추측의 증명은 이 분야의 대표적인 성과로 지목 - 수학 분야 2023년도 신흥 연구 방향은 없음 10) 정보과학 - 주로 AI 기초이론, 6G 통신, 인간-컴퓨터 상호작용, 뇌모방 지능, 의료 정보 처리 등 분야에 집중 - 특히 AI 기초이론 분야 이슈로 생성형 적대 신경망, 와이드 러닝 시스템, 엣지 컴퓨팅을 위한 연합학습 등 방향이 해당 - 정보과학 분야 2023년도 신흥 연구방향은 없음 11) 경제학·심리학·기타 사회과학 - 경제사회의 디지털화 및 녹색 발전 추세를 구현하였으며, 대표적으로 ‘공급망 리스크 관리와 블록체인 기술의 적용’, ‘인공지능(AI) 윤리’ 등 연구 방향 해당 <참고자료> 中国科学院报告研判128个科学研究前沿 http://education.news.cn/20231129/280c4742316c40329da7a5b46f06ecaa/c.html 中国科学院发布128个科学研究前沿,遗传病基因治疗、肿瘤免疫治疗与基因编辑技术 https://mp.weixin.qq.com/s/O14CVMmb45gqzEYFX7vB_A 2023-12-08
- 기술전략 중국국제무역촉진위원회, ‘글로벌 공급망 촉진’보고 □ 인프라 연결성, 다자·양자간 경제무역 규칙, 주요 경제국의 국내 정책, 기술 진보 및 금융 서비스 제시(11.29) ○ 중국국제무역촉진위원회, 중국 내 최초로 ‘글로벌 공급망* 촉진’ 보고서를 발표 * 글로벌 공급망이란 핵심 제품 또는 서비스를 중심으로 여러 국가의 공급업체, 제조업체, 유통업체, 소매업체 및 최종 사용자가 공동으로 형성한 글로벌화 및 고효율적인 초국가적 조직 형태를 의미함 - 글로벌 관점에서 공급망 촉진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고, 글로벌 공급망의 발전 추세를 정량적으로 분석하였으며, 글로벌 공급망 촉진 분석시스템을 구축 - 글로벌 공급망의 기술 혁신, 개방 협력, 상호 연결, 포용적 발전 등에 대한 비즈니스 커뮤니티의 제안을 체계적으로 제시 ○ 주요 과제로 인프라 연결성, 다자·양자간 경제무역 규칙, 주요 경제국의 국내 정책, 기술 진보, 금융 서비스 등 5가지 차원에서 글로벌 공급망 촉진 시스템 구축 제시 - 인프라 상호 연결은 글로벌 공급망의 업스트림, 미드스트림 및 다운스트림 간의 긴밀한 협업 가능성을 제공하는 하드웨어 기반임 - 다자간 경제무역 규칙은 전 세계 무역 및 투자에 대한 장벽을 낮추고, 지역경제협정은 회원국 간의 공급망 협력을 가속화 - 차세대 정보 기술의 발전은 글로벌 공급망에 수직적 확장과 수평적 확장이라는 새로운 변화를 가져오고, 신소재 및 신에너지 등 저탄소 기술은 글로벌 공급망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촉진 - 금융 서비스는 글로벌 공급망의 탄력성과 활력을 향상 ○ 글로벌 산업과 공급망의 회복력과 안정을 유지하는 것은 세계 경제 발전을 촉진하는 중요한 담보이며 전 세계 사람들의 공동 이익에 부합된다고 전망 - 글로벌 공급망 촉진을 통해 다국적 기업 등의 자원배치를 최적화하고, 세계 무역과 투자의 성장을 회복하며, 글로벌 생산 네트워크의 유기적 연결을 촉진하고, 에너지 절약 및 배출 감소를 위한 규칙·표준을 보급하며, 일자리를 창출하고 노동자의 소득을 개선 가능 - 중국은 글로벌 공급망 개방과 협력을 위한 4가지 기회, 즉 규모가 크고 성장 잠재력이 좋은 시장 기회, 가장 완벽한 산업 범주와의 협력 기회, 높은 수준의 개방을 위한 정책 기회, 다양한 요소의 가속화된 통합을 위한 혁신 기회 등 제공 <참고자료> 《全球供应链促进报告》在京发布 https://www.rmzxb.com.cn/c/2023-11-29/3451192.shtml 《全球供应链促进报告》发布——中国为全球供应链开放合作提供四大机遇 https://www.gov.cn/yaowen/liebiao/202312/content_6918474.htm 2023-12-08
- 지역 베이징 경제·정보화국, ‘신형 에너지저장산업 발전정책’ 공개 □ 기술 혁신과 산업화 우수 프로제트에 최대 3,000만 위안을 집중적으로 지원(11.25) ○ 베이징 경제·정보화국은 ‘신형 에너지저장산업 발전정책’을 발표 - 신형 에너지저장은 신형 전력시스템 구축을 위한 중요한 기술이자 기초장비이고, 새로운 에너지생태계를 구축해 국제 전략적 우위를 선점할 수 있는 중요한 분야임 - 주요 목표로 산업발전 우위와 자원우위를 통합해 신형 에너지저장 기술의 혁신과 발전을 촉진하고 베이징의 국제과기혁신센터 건설을 효과적으로 촉진 제시 ○ 주요 과제로 신형 에너지저장 기술의 혁신, 산업의 클러스트화 발전, 신기술과 제품의 응용, 혁신 요소 보장 등 4대 방향을 제시하고 집중적으로 지원 - 기술 혁신에 있어서 핵심기술의 차보즈 난제 해결 시 투자액의 30% 이하 비율로 최대 3,000만 위안(55억 110만원) 보조 - 신형 에너지저장 산업화 프로젝트에 최대 3,000만 위안 지원, 전략적 중대 프로젝트에 연간 최대 3,000만 위안의 이자 할인(최장 3년 할인) - 신형 에너지저장 기업이 신기술 및 신제품의 응용을 위한 파일럿 테스트를 진행할 경우 투자액의 30% 이하 비율로 프로젝트당 최대 1,000만 위안 지원 <참고자료> 北京市经济和信息化局关于印发《北京市关于支持新型储能产业发展的若干政策措施》的通知 https://www.ncsti.gov.cn/zcfg/zcwj/202311/t20231127_142347.html 2023-12-08
- 통계 ‘중국 인공지능 컴퓨팅 파워 발전 평가보고(′23~′24)’ 분석 □ ′27년 중국의 AI 컴퓨팅 파워 규모가 1117EFLOPS에 도달해 연평균 33.9%의 복합성장률 실현(11.18) ○ 지난 11월 29일 개최된 ‘2023 AI 컴퓨팅 콘퍼런스’에서 IDC와 랑차오(浪潮·Inspur)는 공동 으로 ‘중국 인공지능 컴퓨팅 파워 발전 평가보고(′23~′24)’를 발표 - 동 보고서에 따르면 ′23년 중국 인공지능 서버 시장 규모가 전년 대비 82.5% 성장한 91억 달러에 달하고, ′27년에는 134억 달러로 연평균 성장률이 21.8%에 이를 전망 - ′22년 중국의 스마트 컴퓨팅 파워 규모는 260EFLOPS(엑사플롭스)에 달했으며 ′27년에 1,117.4EFLOPS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 - ′22년 중국의 범용 컴퓨팅 파워 규모는 54.5 EFLOPS에 달했으며 ′27년까지 117.3 EFLOPS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 * ′27년에 중국의 스마트·범용 컴퓨팅 파워의 연간 복합성장률은 각각 33.9%와 16.6% 달성 ○ ′23년 인공지능의 산업 융합도 순위 Top5 분야는 인터넷, 전자통신, 정부, 금융, 제조 순이며 교통, 서비스, 교육 등 분야의 산업 융합도도 높은 편임 - 인터넷은 6년 연속 산업 융합도 1위 유지해 왔으며 AIGC 기술 응용 및 R&D의 주요 경쟁영역임 - 전자통신은 2022년 4위에서 2023년 2위로 뛰어올랐는데, 이는 주로 통신사가 동수서산(东数西算) 전략을 따라잡고 클라우드데이터센터·스마트컴퓨팅센터 건설을 가속화했기 때문임 ○ ′23년 8월 기준 중국 30개 이상 도시에 AI 컴퓨팅 센터가 설립됐고 총 건설 규모는 200억 위안(약 3조 6,200억원)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음 - ′23년 중국의 인공지능 도시 순위에서 베이징은 대형 언어 모델 분야에서 1위를 유지했으며 항저우와 선전은 각각 2위, 3위를 차지 - 그 외, 상하이, 쑤저우, 광저우, 지난, 허페이, 충칭, 청두 순서로 발전 <참고자료> 2027年我国人工智能服务器市场规模将达134亿美元 http://digitalpaper.stdaily.com/http_www.kjrb.com/kjrb/html/2023-11/30/content_563425.htm?div=-1 2023-2024中国人工智能计算力发展评估报告 https://app.myzaker.com/news/article.php?pk=65694b8a8e9f0937d96c9169 2023-12-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