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분석

한중 과학기술 협력 정보 및 교류 플랫폼의 선두에 앞장서겠습니다!

중국 반도체 제조 설비 기술 개발 현황
중국 국가혁신지수 보고서
  • 발행일2016.09.01
  • 조회수584


자주혁신 능력형상과 혁신형 국가건설은 「국가 중장기 과학기술 발전계획 요강(2006~2020년)」에서 제시한 전략적 목표이다. 혁신형 국가 건설과정을 모니터링 및 평가하기 위해 중국과학기술발전전략연구원은 2006년부터 국가혁신지수에 대한 연구사업에 착수하였다. 과학기술부의 지도 및 관계 사(司)와 국(局), 사업기관 및 각 업계 전문가와 학자의 지원을 통해 「국가혁신지수 보고서」는 2001년부터 5기에 걸쳐 발표되었다. 「국가혁신지수 보고서 2015」는 동 시리즈 보고서의 제6기이다.

과학기술부의 「국가혁신조사제도 수립 업무방안」에 따라 「국가혁신지수 보고서」는 국가혁신조사제도 시리즈 보고서 중 하나이자, 국가차원의 혁신능력 평가보고서이기도 하다. 국가혁신조사제도 보고서 체계에 대한 총체적인 설계에 따라 이번 「국가혁신지수 보고서」는 지역과 기업의 혁신능력 평가에 대해 추가로 전문테마 연구를 하지 않고, 국별 분석부분을 추가하여 지표서술과 데이터분석을 통해 각 국가의 혁신특징을 객관적으로 반영하고 노력했다.

「국가혁신지수 보고서」는 중국과 해외 국가경쟁력과 혁신평가 등 분야 이론과 방법을 거울삼아 혁신자원, 지식창조, 기업혁신, 혁신성과와 혁신환경 등 5개 분야에서 국가혁신지수에 대한 지표체계를 구축하였다. 동 보고서는 상기 지표체계 구조를 승계하였다. 즉 국가혁신지수는 1급 지표 5개와 2급 지표 30개로 구성된 것이다. 20개의 정량 지표는 혁신 규모, 품질, 효율과 국제경쟁력을 두드러지게 나타내는 한편, 선진국과 개발도상국의 균형을 모두 감안하고, 10개의 정성적인 조사지표는 혁신환경을 반영한다.

동 보고서는 과학기술 혁신활동이 활발한 40개의 국가(R&D투자 합계가 세계에서 70% 이상 차지)를 선정하여 연구대상으로 간주하였으며, 국제적으로 인정하는 벤치마킹 분석법을 지속적으로 채택해 국가혁신지수를 추산하였다. 사용한 데이터 출처는 모두 각국 정부 또는 국제기구의 데이터베이스와 출간물로, 세계적인 비교가능성과 권위성을 지닌다. 동 보고서는 2013-2014년의 통계조사 데이터를 바탕으로 하여 40개 국가의 혁신지수를 추산하였으며, 또한 상기 보고서의 결과와 대조하였다.

현 세계에서 국가의 번영부강과 지속적인 발전은 인구수의 많고 적음과 천연자원의 빈부격차가 아닌 국가혁신능력의 육성과 축적에 의해 주로 결정된다. 세계는 바야흐로 변화하고, 국가혁신능력도 각국의 혁신요소능력에 대한 관리도 차별을 두면서 변화하고 있다. 미래 과학기술 발전과 국제정치경제 형세의 변화로 초래되는 기회 및 도전에 직면하여 세계 각국은 모두 과학기술 혁신자원에 대한 투자를 증가하여 자국의 혁신능력을 제고하고자 시도하였다. 국제경쟁의 배경에서 2014년에 중국 국가혁신지수의 세계적인 우선순위는 18위로 상승하고, 지수 득점은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선진국과의 격차가 더욱 좁혀졌다.

혁신주도형 발전전략은 이미 중국의 국가전략이 되었다. 앞으로 국가혁신조사제도의 수립을 통해 혁신평가지표체계 개선, 혁신 모니터링과 평가사업 본격화에 유리한 여건을 창조할 것으로 기대된다. 국가 종합혁신능력을 평가하고, 중국의 혁신능력 변화를 모니터링하며, 중국과 세계 혁신형 국가 간 격차를 분석하면서 꾸준한 모색과 심층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향후 국가혁신지수 연도별 시리즈 보고서를 통해 사회를 위해 중국의 혁신 발전현황을 인식 및 평가하는 창구를 제공하는 한편, 각 분야 전문가와 학자의 귀중한 의견을 수렴하고, 국가혁신지수를 꾸준히 개선하여 중국의 혁신형 국가건설이라는 이 위대한 역사과정을 공동으로 입증하기를 기대한다.



[목 차]

머리말

제1장 데이터로 본 중국

제1절 주요 지표로 본 중국의 발전

제2절 중국 혁신의 글로벌 위상

제3절 국가 혁신지수 지표 평가

제4절 중국 혁신능력의 발전 및 변화

제2장 중국과 한국 분석

부록 지수 추측치 및 우선순위



상세한 내용은 향후 로그인 후 참조해주시기 바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