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래 20년의 중대과기인프라 구축분야 확정 | ||
|
||
|
2013년 4월 17일 국가발전개혁위원회 관계자는 <국가중대과기 인프라구축 중장기 계획(2012-2030년)>에서 미래 중국의 에너지, 생명, 지구시스템 및 환경, 재료, 입자물리와 핵물리, 우주와 천문, 공학기술 등 7개 분야 중대과기인프라의 주요 발전방향을 확정했는데, 이는 국가 혁신구동형 발전전략의 실시, 원천혁신능력 제고, 과학기술 대국에서 강국으로의 전환목표 달성에 대해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고 밝혔다. 에너지과학분야에서는 인류사회의 지속가능한 에너지 활용과 관련한 과학문제 해결을 목표로 하고, 원자력에너지와 고효율 화석에너지 연구 인프라 구축을 핵심으로 하며, 에너지 중대과기인프라의 공간적 배치를 조정하여 에너지과학의 획기적인 성과창출과 에너지절약 및 오염물방출감소 기술변혁을 지원할 것을 확정했다. 생명과학분야에서는 생명의 비밀 탐구, 인류건강과 농업의 지속가능한 발전에서 부딪치는 중요한 과학기술문제 해결을 목표로 하여 생명건강, 의료혜택, 바이오육종에서의 중대과학기술난제를 해소할 것을 확정했다. 이번 중장기 계획은 중국 역사에서 최초로 국가중대과기인프라의 중장기 구축과 발전을 체계적으로 제정한 지침서로서 발전개혁위원회가 과기부, 재정부, 교육부, 중국과학원, 중국공정원, 국가자연과학기금위원회, 국방과학기술공업국, 총장비부(總裝備部) 등 관계 부서 및 기관과 공동으로 연구 편찬한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