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3년 중국의 10대 과학기술 성과 | ||
|
||
![]() 2013년에 중국의 과학기술자들은 우주공간 탐사, 양자세계 조종, 생명시계 반전을 비롯한 세계적 주목을 모으는 눈부신 성과를 창출했다. 1. 달탐사선 창어 3호 달 연착륙, 유인우주선 선저우(神舟) 10호와 실험용 우주정거장 톈궁(天宫) 1호 도킹 창어 3호가 휴대한 옥토끼호 달 탐사차량이 달에서 작동하여 중국은 최초로 지구 밖 천체에서 연착륙에 성공했다. 중국의 5번째 유인우주선 선저우 10호가 최초의 우주 응용성 비행을 실현하고, 톈궁 1호와의 우주도킹을 수행하여 중국은 우주정거장 건설단계에 진입했다. 2. 비정상 양자 홀효과(Hall effect) 실현 칭화대학 쉐치쿤(薛其坤) 원사 연구진은 ‘비정상 양자 홀효과’ 관측에 성공하였다. ‘비정상 양자 홀효과’의 실현은 이론물리분야의 획기적인 성과이자 극히 높은 상용가치도 지니고 있다. 양자 홀효과는 전반 응집물질물리학에서 가장 중요하고 기본적인 양자효과이다. 3. 소분자 화학물질을 이용하여 유도다능성 줄기세포를 제조하고 생명시계 반전 베이징대학 덩훙쿠이(邓宏魁) 교수 연구진은 4가지 소분자 화학물질을 이용하여 실험용 쥐의 피부세포를 전능성 줄기세포로 유도하고 또한 후대를 복제했다. 유도다능성 줄기세포 기술은 복제 양 ‘다리(多莉)’의 기술에 비해 더욱 간단하고 철저한 복제방식이다. 4. 에이즈 점막 백신 연구진전 칭화대학 장린치(张林琦), 홍콩대학 천즈워이(陈志伟), 중국과학원 광저우생물의약 및 건강연구원 천링(陈凌) 연구팀은 공동으로 에이즈 점막 백신의 붉은털원숭이 체내 임상전 시험연구를 수행하고, 에이즈 예방경로를 확인했다. 5. 중국과학기술대학, 양자 얽힘 속도 하한 측정 (광속의 1만배) 멀리 떨어져 있는 두 개의 양자가 관련성이 있어 한 입자에 영향이 미칠 경우 다른 하나도 반응이 발생하는데, 이것이 바로 아인슈타인에 의해 ‘멀리서 일어나는 으스스한 행동(spooky action at a distance)’이라 불리는 양자 얽힘이다. 아인슈타인의 상대론은 광속이 물질을 전파하는 최대 속도로 인정받고 있으나 중국과학기술대학의 물리학자 판젠워이(潘建伟) 원사 연구팀은 양자 얽힘의 속도 하한이 광속에 비해 4자리 수(초당 30억 킬로미터)가 빠름을 측정했다. 6. 세계 첫 반부동식 게이트 트랜지스터(SFGT) 푸단대학 마이크로전자학원 장워이(张卫) 교수 연구팀은 세계 첫 반부동식 게이트 트랜지스터(SFGT)를 연구개발함으로써 중국은 마이크로전자부품 분야에서 최초로 세계 선두를 달리게 되었다. SFGT는 신형 마이크로전자 기초부품으로서 중국의 집적회로 핵심기술 확보를 지원하여 칩 설계와 제조에서 보다 많은 발언권을 획득하는데 이롭다. SFGT의 3대 응용영역은 서로 다른 집적회로, DRAM분야, 능동픽셀센서(APS)로 큰 시장잠재력을 지니고 있다. 7. 세계 첫 단일광자 양자메모리, 양자컴퓨터 연구개발의 큰 진전 중국과학기술대학 중국과학원 양자정보 중점실험실의 스바오선(史保森) 교수 연구팀은 세계 최초로 궤도각운동량과 공간구조를 가지는 단일광자 펄스의 냉각원자시스템에서의 메모리와 방출을 실현하여 고차원 양자 메모리 셀 구축의 실행타당성을 규명하고, 고차원 양자 리피터를 바탕으로 원거리 대정보량 양자정보전송의 실현을 위해 기여했다. 8. H7N9 조류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백신주 연구개발 성공 2013년 3월에 중국은 최초로 인간 감염 H7N9 조류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병례를 발견하고 적시에 바이러스 차단조치를 채택했다. 중국 과학기술부는 4월에 과학기술 응급조치 연구프로젝트를 가동하고 임상 진단시제 개발, 백신 연구개발 등의 사업을 중점적으로 추진했다. 국가조류인플루엔자참고실험실 천화란(陈化兰) 연구팀은 신형 H7N9 조류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소스를 규명하고, 조류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재조합 메커니즘과 전파 가능성을 해석했다. 2013년 10월에 저쟝대학부속 제1병원 리란쥐안(李兰娟) 원사 연구팀은 H7N9 조류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백신주 연구개발에 성공하고 독감 백신주가 그동안 해외수입에 의존하던 역사에 종지부를 찍었다. 9. 세계 최장 탄소나노튜브 칭화대학 워이페이(魏飞) 교수 연구팀은 길이 반 미터 이상의 탄소나노튜브 제작에 성공하여 세계기록을 창조했는데, 이는 모든 1차원 나노소재 길이의 최고치이다. 연구팀은 현재 1미터 이상의 탄소나노튜브를 제작하고 있으며, 앞으로 길이 1킬로미터 이상의 탄소나노튜브를 제조할 예정이다. 10. 톈허(天河) 2호, 재차 세계 슈퍼컴퓨터의 1위 기록 국방과학기술대학이 연구개발한 슈퍼컴퓨터 ‘톈허 2호’는 초당 33.86페타플롭(1초당 1000조회)의 연산 속도로 세계에서 가장 빠른 슈퍼컴퓨터가 되었으며 세계 우선순위 2위보다 2배 빠르다. 톈허 2호에 적용된 국산 차세대 ‘페이텅(飞腾)-1500’ CPU는 현재 중국에서 지배주파수가 최고인 고성능 범용 CPU이다. 정보출처 : http://bbs.tianya.cn/post-333-403347-1.shtml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