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향 게시판

게시글 제목, 작성일, 조회수, 내용을 포함합니다.

중국, 임바디드 인텔리전스(具身智能), 국가 전략 산업으로 육성
  • 등록일2025.03.14
  • 조회수707
□ 중국 정부는 2025년 양회에서 처음으로 ‘임바디드 인텔리전스(embodied intelligence, 具身智能)’을 언급하며 AI 기술 경쟁력을 휴머노이드 로봇, 커넥티드카, AI 탑재 휴대전화 등으로 확대하겠다는 계획을 밝혔음(24.3.6)
(글로벌 동향) 임바디드 인텔리전스 개념은 1950년 앨런 튜링이 최초로 제시한 이후 AI 기반 다중 감각 인지 및 행동 융합 기술로 발전하여, 현재 산업 제조, 물류, 자율 주행, 서비스 로봇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며 글로벌 경쟁이 본격화되는 추세임
 
 
(중국 발전 전략) 중국 정부는 중앙-지방 협력 체계를 기반으로 임바디드 인텔리전스 산업을 전략적으로 육성하고, AI·신경과학 융합 기술 혁신을 통해 산업 발전을 체계적으로 추진
- (정책) 중앙정부는 ‘차세대 인공지능 발전 계획(′17.7, 국무원)’ 등 거시적 전략을 통해 임바디드 인텔리전스 산업을 주도하고, 지방정부는 이를 바탕으로 지역별 맞춤형 실행 방안을 마련
* 예시: ① 베이징, 국가급 ‘임바디드 인공지능 로봇 혁신 센터(HUMANOID)’ 설립, ② 선전: 임바디드 인텔리전스 산업 발전을 위한 독자적 액션 플랜 발표, ③ 상하이: 이종(heterogeneous) 인간형 로봇 훈련 단지 구축 등
- (기술) 중국은 AI 알고리즘, 신경과학, 뇌-기계 인터페이스(BCI) 등의 융합을 통해 로봇의 자율 감지, 실시간 의사 결정, 환경 적응력 혁신을 추진 중
* 예시: ① HUMANOID, Tiangong 인간형 로봇 개발 → 계단 134개 연속 등반, 최고 속도 12km/h 달성, ② 중국과학원 Q 시리즈 인간형 로봇, 신경과학 + AI 융합을 통한 하드웨어 보완 및 학습 알고리즘 개발 등
(선도 기업) 중국 주요 기업들은 임바디드 인텔리전스 산업에서 AI, 로봇 하드웨어, 센서·모터·칩 기술을 기반으로 자율성 및 이동성 향상을 추진하며, 정부 지원을 활용해 시장 점유율 확대와 상업화를 가속화하는 전략을 추진
- 특히, UBTECH(優必選)는 인간형 로봇의 서보 구동 및 보행 제어 기술에서 강점을 보유하고 있으며, Unitree(宇樹科技)는 핵심 부품 국산화와 산업 현장 적용을 기반으로 중국 임바디드 인텔리전스 산업을 선도하는 기업으로 자리매김
 
 
□ 시사점
○ 중국은 임바디드 인텔리전스를 국가 전략 산업으로 육성하고 있으며, AI와 로봇 기술의 결합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딥시크(DeepSeek)와 같은 대형 언어 모델이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전망됨. 이는 단순한 AI 및 로봇 기술 발전을 넘어 AI-로봇-인간 간 협업 체계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형성하는 전환점이 될 가능성이 높음
 
<참고자료>
(25.3.6, 人民政府网) 具身智能如何走向未来?
(24.5.6, 深圳市人工智能与机器人研究院) 具身智能简史、现状与未来展望
(25.1.10, TMTPOST) Embodied Intelligence, World Models are New AI Trends in 2025
(25.3.3, 澎湃新闻) 具身智能机器人这样发展
 
작성자: 정리 연구원(miouly@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