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향 게시판

게시글 제목, 작성일, 조회수, 내용을 포함합니다.

중국 스마트 커넥티드카, 어디까지 왔나?
  • 등록일2025.04.16
  • 조회수789
□ 중국은 자율주행차, 차량통신(C-V2X), 스마트 도로 등 스마트 커넥티드카 분야에서 제도·인프라·기술·서비스 전반을 체계적으로 정비하며 글로벌 주도권을 확보하고 있음
(차량 통신 기술) V2X(Vehicle-to-Everything)는 차량과 사람·인프라 간 통신을 포괄하는 기술로, 도로 안전성, 교통 효율성, 운전 편의성 향상을 목표로 설계되었으며, 현재는 중국 주도의 C-V2X(Cellular V2X)가 글로벌 주류 기술로 자리잡고 있고, 기존 DSRC(Dedicated Short Range Communication)는 점차 대체되는 추세임
 
 
(글로벌 주요국 활용 현황) 미국, 유럽, 한국 등 주요국은 차량통신 기술의 전략 축을 C-V2X로 전환하고 있으며, 특히 중국은 국가 차원에서 표준화 및 인프라 구축을 선도적으로 추진
 
 
 (정책) 중국은 ′17년 이후 스마트 커넥티드카 관련 국가표준 제정, 자율주행 기술 분류, 시범도시 지정 등을 통해 제도 기반을 정비하고 상용화를 본격 추진 중임
 
 
(인프라 현황) 중국은 도로·통신·클라우드 등 3대 핵심 인프라를 전국적으로 고도화하고 있으며, 고정밀 측위와 통합 제어체계를 갖춘 실증 환경을 통해 스마트 커넥티드카 상용화를 빠르게 추진
 
 
(시범 프로젝트) 주요 도시(베이징, 상해, 창사 등)를 중심으로 자율주행·정밀 측위·군집주행 등 핵심 기술을 검증 중이며, 실증 효과가 가시화되고 있음
 
 
(시범구) 총 17개 국가급 시범구를 비롯해 V2X 선도구(7곳), 스마트교통+스마트도시 시범도시(16곳)를 지정하고 다층적 기술 실증 및 산업 생태계 조성을 추진하고 있음
 
 
(기술표준) 중국은 C-V2X 기술을 중심으로 국가표준을 정비해 왔으며, 2025년 이후에는 사실상 글로벌 표준 주도국으로의 입지를 강화할 전망임
 
 
(활용 사례) 중국은 자율주행차량과 스마트 교통 시스템을 다양한 일상생활 영역에 적용하여 사고율 감소, 물류 효율 향상, 에너지 절감 등의 성과를 구체적으로 창출하고 있음
 
 
<참고자료>
(25.3.10, CCTV) 汽车产业加速构建智能网联新生态
(25.4, 5gaa) C-V2X explained
(24.7.15, 人民网) 中国智能网联汽车发展途径及其优化
(24.8.29, 新华网) “车路云一体化”规模应用提速
(23.5.18, ETTIFOS) DSRC vs. C-V2X: Understanding the Two Technologies
(20.2.1, 交换与智能控制研究中心) C-V2X:LTE/5G-V2X车联网服务与标准
(22.7.13, 中国智能网联汽车产业创新联盟) 我国智能网联汽车道路测试发展现状及测试互认研究
(20.4.13, 国家5G高频器件创新中心) 智能网联(车联网)示范区发展现状分
 
작성자: 정리 연구원(miouly@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