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향 게시판

게시글 제목, 작성일, 조회수, 내용을 포함합니다.

中 2025년 향한 미래산업 전략, AI·수소·로봇 등 10대 기술 낙점
  • 등록일2025.04.11
  • 조회수677
□ 중국 전자정보산업발전연구원(賽迪研究院)은 중관촌포럼에서 ‘미래산업 신성장 분야 연구보고서’를 발표하고, 2035년을 목표로 설정된 전략에 따라 총 514개 세부 분야를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2025년에 중점적으로 육성할 미래산업 10대 핵심 분야를 제시(25.4.7)
* 동 연구원은 공업신식화부 산하 정책 연구기관으로, 2000년 설립 이후 19개 연구소 및 20개 계열사를 운영 중이며, 산업·정보화 관련 정책 수립을 지원하는 고급 싱크탱크로 기능하고 있음
** 이번 보고서에서 제시한 2025년 미래산업 10대 핵심 분야는 중국의 2035년 미래산업 전략에 따라 설정된 6대 중점 분야와 78개 세부 기술 트랙을 기반으로, △기술 혁신성 △산업 파급력 △성장 잠재력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도출된 것임
(주요국의 미래기술 전략) 미국·한국·일본·독일 등 주요국은 인공지능, 양자기술을 공통의 핵심 기술 분야로 설정하고 있음
* 특히 미국은 관련 법·제도 정비, 신형 연구기관 설립 등 다양한 정책 수단을 통해 미래산업 경쟁력 확보를 추진 중임
 
 
(중국의 미래산업 정책) 중국 정부는 ‘제14차 5개년 계획 및 2035년 중장기 목표 요강’, ‘미래산업 혁신 발전 촉진을 위한 시행의견’ 등을 통해 미래산업 기술 로드맵을 수립
 
 
(2025년 중국 미래산업 10대 핵심 분야) 보고서에서는 제시된 ‘미래산업 10대 핵심 분야’는 ① 범용 인공지능, ② 고수준 자율주행, ③ 상업용 우주산업, ④ 휴머노이드 로봇(임바디드 인텔리전스), ⑤ 저고도 경제, ⑥ 차세대 에너지저장, ⑦ 친환경 수소에너지, ⑧ 연산용 반도체, ⑨ 세포·유전자 치료, ⑩ 메타버스를 포함
- 푸쑹타오(蒲鬆濤) 연구원장은 해당 분야가 아직 산업화 초기 단계에 있으며, 일부 기술은 상용화까지 10~15년 이상 소요될 수 있다고 평가하고, 정부-시장 연계와 중장기적 균형 전략에 기반한 분야별 맞춤형 정책 마련의 필요성을 강조
 
 
<참고자료>
(25.4.1, 新浪财经) AI、人形机器人、算力入围2025年“未来产业十大赛道”
(25.4.7, 研究报告) 【研究报告】锁定十大未来产业新赛道
(25.4.1, 科技日报) 布局未来产业 竞逐重点赛道
 
작성자: 정리 연구원(miouly@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