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향 게시판

게시글 제목, 작성일, 조회수, 내용을 포함합니다.

중국-이스라엘 디지털 밸리 본격 가동… 기술 협력 역량 강화
  • 등록일2025.05.16
  • 조회수448
□ 최근 중국-이스라엘 디지털 밸리가 정식적으로 가동하며, 로봇·지능형 제조, 생명·건강, 차세대 정보기술 등 첨단 분야의 산업 클러스터를 구축할 계획(5.6)
중국-이스라엘 국제혁신촌 2기(약칭 ‘중이 디지털 밸리’)는 중국-이스라엘 창저우 혁신 단지(CICP)의 핵심 프로젝트로, 15억 위안(약 3,000억 원)을 투입해 인공지능, 휴머노이드 로봇, 저공 경제, 뇌 모방 지능 등 미래 산업을 집중육성할 예정
- 중국과 이스라엘의 기술 및 산업협력을 위한 핵심 거점으로, 첨단기술 연구개발, 국제협력 강화, 산업 혁신 가속화 등 다양한 사업을 추진
- 이스라엘의 혁신 역량과 중국의 산업화 인프라가 결합 되어, 기술 연구개발, 기술 상용화, 창업 인큐베이팅, 인재 양성 등 전 주기적 지원 체계를 갖추고 있음
 
 
□ (혁신공동위) 중국과 이스라엘은 한국과 같은 해인 1992년에 수교하고 2015년부터 중국-이스라엘 혁신협력공동위원회를 운영하여 양국간 혁신협력 사업 총괄 기획 및 결정
○ 2014년 류옌동(劉延東) 부총리 이스라엘 방문 기간 내 ‘중국-이스라엘 혁신협력공동위원회’를 설립하고 부총리급으로 매년 양국 교대로 개최
* 과기부 주도로 발전개혁위원회, 교육부 등 범부처 공동 참여 
○ 공동위 프레임 속 ‘중이 신협력 3년 액션플랜’을 통해 혁신협력 분야와 주요 사업기획 수행  
* ‘2015~2017’,‘2018~2021’,‘2022~2024’ 등 3회 액션플랜 추진
 
 
□ (R&D 협력) 중국 및 이스라엘 과기부가 주도하는 정부간 국제과기혁신협력 중점프로젝트를 통해 R&D 협력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며, ‘중국-이스라엘 정부간 공동연구프로젝트’와 ‘중국-이스라엘 산업기술 연구개발 협력프로젝트’로 구성
 
 
○ 이외에 중국 교육부와 이스라엘 고등교육위원회가 주관하는 중국-이스라엘 ‘7+7’ 연구형 대학 컨소시엄(‘15.1)을 통해 R&D 협력사업 추진 
- ‘중국-이스라엘 대학 총장 포럼’이 추진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인력 양성, 과학연구 및 기술혁신 등 분야 협력사업 협의
 
 
□ (산업단지 협력) 이스라엘은 중국 지방정부와 협력하여 중국-이스라엘 창저우 혁신단지('15년)와 중국-이스라엘 상하이 혁신단지('19년)를 운영 중
○ 특히 중국-이스라엘 창저우 혁신단지(′15.1월, 장쑤성)는 양국 정부간 협력협정을 통해 구축한 최초의 혁신단지임
- 장쑤성 중국-이스라엘 산업기술연구원, 중국-이스라엘 혁신회(創新淮), 이스라엘 장쑤혁신센터 등 혁신플랫폼과 중국-이스라엘 혁신발전펀드 등 운영 중 
- ′25.4월 기준 이스라엘 독자 또는 합자기업 288개를 유치하고, 스마트제조·생명공학·신소재·현대농업 등 분야 기술협력프로젝트 60건을 추진, 향후 AI·휴머노이드로봇·저고도경제·뇌모방지능 등 새로운 협력분야 개척 예정 
- 과기부의 ‘국가의료기기 국제혁신단지’, 발전개혁위원회의 ‘중국-이스라엘 첨단기술산업협력 중점지역’으로 선정
 
 
<참고자료>
(18.11.01. 搜狐网) 中以创新合作联委会
(24.6.21. 中国科技部)政府间国际科技创新合作”重点专项 2024 年度申报指南政府间专项2024年度第一批项目申报指南-征求意见稿_20230725161735.pdf
中国以色列常州创新园 홈페이지 
 
작성자: 우만주 연구원(yumanshu87@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