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 과학자 중국행 증가…中, 글로벌 인재 유치 창 확대 | ||
|
||
|
□ (미국 이직 동향) 네이처 글로벌 채용 플랫폼(Nature Careers) 데이터에 따르면, ′25년 1~3월 동안 미국 과학자들의 해외 구직 지원은 전년 동기 대비 32% 증가, 해외 구직 열람 수는 35% 증가(25.4.22)
* 특히 3월 한 달간 해외 구직 열람은 전년 대비 68% 급등함
○ 이는 트럼프 행정부의 과학기술 예산 대폭 삭감에 따른 것으로, 미국 과학계 내 해외 이직 움직임이 본격화되고 있음
![]() - 구체적 사례: HIV/AIDS 연구 관련 연방 보조금 200여 건 중단, NIH(국립보건원) 코로나19 연구비 삭감, 콜롬비아대학 연구비 4억 달러 삭감 등 발생
- 세부 동향: 미국 과학자의 캐나다 구직 지원은 41% 증가, 반면 캐나다 연구자의 미국 지원은 13% 감소
□ (중국 유입 흐름) ′25년 1~3월 동안 미국 과학자들의 중국 구인 공고 열람 수는 전년 대비 30%, 지원 건수는 20% 증가함
* 미국 과학자들의 아시아 국가 전반(중국 포함) 구직 열람 및 지원도 각각 34%, 39% 증가
○ ′25년 초 트럼프 대통령 재당선 이후, 미국 과학자들의 대(對)중국 이직 수요가 소폭 증가하는 반면, 중국 과학자들의 미국 구직 수요는 크게 감소하는 흐름이 관측됨
![]() □ (중국 인재 유치 전략) 중국은 2000년대 초 ‘천인계획(千人計劃)’을 시작으로 해외 인재 유치를 본격화했으며, 이후 체계적·다층적 정책으로 발전시켜 옴. 최근에는 전략 분야 중심으로 비자, 거주, 생활 지원 요건을 대폭 완화하며 제도적 최적화를 추진하고 있음
○ 해외 인재 유치 정책은 ‘중요성 인식–지속적 개방–실용화–체계적 개선’ 방향으로 진화하고 있으며, 베이징·선전 등 지역 중심의 시범 사업*과 국제 경쟁력 강화 전략을 통해 글로벌 최고 인재 확보에 주력
* 베이징·선전 등 주요 도시는 글로벌 인재 허브로 지정되어, 보다 유연한 인재 유치 정책과 전방위적 지원(급여, 연구비, 주거, 자녀교육 등)을 선도적으로 추진 중
![]() <참고자료>
(25.4.22, Nature) Exclusive: a Nature analysis signals the beginnings of a US science brain drain
(25.4.27, 科学网) 史无前例!美国科研人才加速流出,中国是目的地之一
(08.12.25, 千人计划) 《中央人才工作协调小组关于实施海外高层次人才引进计划的意见》的通知
(12.8.17, 中国人才网) 史国家高层次人才特殊支持计划
(13.12.24, 教育部) 教育部办公厅关于进一步加强和规范高校人才引进工作的若干意见
(16.3.21, 人民政府网) 中共中央印发《关于深化人才发展体制机制改革的意见》
(24.3.15, 项目申报服务) 2024年工信部启明计划(QM计划)已经开始申报了
작성자: 정리 연구원(miouly@naver.com)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