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향 게시판

게시글 제목, 작성일, 조회수, 내용을 포함합니다.

미 전략정보사가 포착한 중국 AI 인프라 확장
  • 등록일2025.06.20
  • 조회수361
□ Strider-SCSP의 ‘China AI Infrastructure Surge Report’*에 따르면, 중국은 국가 주도의 전략 하에 AI 인프라 확충을 통해 글로벌 기술 패권 확보에 나서고 있음
* 본 보고서는 미국 전략정보기업 Strider와 前 구글 CEO 에릭 슈미트가 설립한 비영리 싱크탱크 SCSP가 공동 발간한 첫 분석으로, 중국 AI 인프라 확장 동향과 전략적 함의를 다룸
(정책 추진 배경 및 전략 방향) 중국 국무원은 ′17년 ‘차세대 인공지능 발전계획’을 통해 AI의 전방위 통합 및 활용을 국가 전략으로 공식화했으며, 컴퓨팅 인프라 구축을 핵심 과제로 설정
- ′20년 도입된 ‘동수서산(東數西算)’정책은 국가 데이터센터 통합망 전략으로, 동부(베이징·상하이·톈진 등)는 수요 기반 도시형 노드, 서부(구이저우·간쑤·닝샤 등)는 에너지 기반 청정에너지형 노드로 구분되어 10대 국가 컴퓨팅 허브로 조성 중임
- 공업신식화부를 포함한 10여 개 부처는 ′23년 ‘고품질 컴퓨팅 인프라 발전계획’ 등을 통해 총 300 EFLOPS, 이 중 AI 전용 105 EFLOPS 확보를 목표로 하는 상세 추진 전략을 제시
 
 
(AI 데이터센터 구축 현황) 중국은 ′25년까지 AI 연산력 105 EFLOPS 확보를 목표로 인프라 확충에 속도를 내고 있으며, ′24년 중반 기준 250개 이상의 AI 전용 데이터센터를 건설 또는 운영 중임
- 이 중 207개는 정부 또는 산하기관 소유로 확인되며, 101개는 공식 발표되었고, 106개는 운영 중으로 분류됨
* 단계적 가동 중인 센터도 실질 운영(Operational) 중으로 간주함
- 발표된 센터 기준 총 연산력은 395,000 PFLOPS, 운영 센터 기준은 350,000 PFLOPS를 초과함
 
 
(AI 데이터센터 연산성능) 중국은 AI 데이터센터의 양적 확충뿐 아니라 고성능화도 병행 추진 중이며, 일부 분석에 따르면 정부 목표를 훨씬 초과한 연산력을 이미 확보한 것으로 평가됨
* FLOPS는 연산 성능 단위로, 계산 정밀도에 따라 FP32(단정밀도), FP16(반정밀도) 등으로 구분되며, FP16은 FP32 대비 약 2배 연산 효율을 가지므로 중국의 105 EFLOPS(FP32 기준)는 FP16 기준으로 약 210 EFLOPS에 해당함
** Strider는 데이터센터별 정밀도(FP16/FP32)를 파악하지 못하고 PFLOPS 단위로 표시한 반면, IDC 등 분석은 FP16 기준으로 중국 AI 연산력을 725.3 EFLOPS로 추정해 정부 목표(300 EFLOPS)를 상회함
- 발표된 101개 센터 중 74개소의 연산력은 총 395,000 PFLOPS 이상으로 집계됨
- 운영 중인 106개 AI 데이터센터 중 94개소의 연산 성능이 확인되었으며, 이 중 1,000 PFLOPS 이상 성능을 보유한 센터는 20% 이상, 일부는 20,000 PFLOPS를 초과함
 
 
<참고자료>
(25.5, strider) China’s AI Infrastructure Surge
(25.6, scspv) About SCSP
 
작성자: 정리 연구원(miouly@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