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향 게시판

게시글 제목, 작성일, 조회수, 내용을 포함합니다.

‘중국, 화성에 드론 투입!’ – 톈원(天問) 3호, 인류 첫 ‘드론 샘플 채취’
  • 등록일2025.06.30
  • 조회수335
□ 중국국가항천국(CNSA)은 최초의 화성 착륙 탐사 임무인 톈원 1호의 성공 이후, ‘화성 샘플 자동 채취 및 귀환’이라는 중장기 목표를 실현하기 위해, 톈원 3호 미션을 새롭게 추진 중(25.6.23)
(주요 목표) 2028년 발사를 목표로 2031년까지 최소 500g의 화성 토양 및 암석 샘플을 지구로 귀환시키는 것을 추진 중
(이원적 발사) 톈원 3호는 고 난이도의 샘플 채취 및 반환 과정을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두 차례의 장정(长征) 5호 로켓 발사를 통한 이원적 시스템을 채택할 계획
1차 발사 (2028년 11월 예정): 샘플 귀환을 담당할 궤도선(orbiter)을 화성 궤도에 투입, 채취된 샘플과의 랑데부 및 귀환 준비 수행
2차 발사 (2028년 12월 또는 2029년 5월 예정) : 착륙선과 샘플 상승체(lander/ascender)를 화성에 투입, 지정 지점에 착륙하여 샘플 채취 및 궤도선과의 도킹을 위한 이륙 준비 진행
 
 
(드론 활용) 가장 주목할 만한 기술적 하이라이트는 ‘화성용 드론’을 활용한 샘플 채취 방식의 도입이며, 기존의 드릴 기반 암석 채취 및 표면 스크래핑(scraping) 방식과 병행되어, 더욱 넓은 지역에서의 표본 확보를 추진
- (드론 채취 방식의 장점) ① 착륙 지점으로부터 수 km 떨어진 지점에서 ‘지질학적으로 특이한 표본’ 확보 가능 ② 착륙선의 기동 한계를 극복하고 고위험 지역까지 접근 가능 ③ NASA의 Ingenuity 헬리콥터 임무 경험을 참고하면서도, 채취 목적의 정식 시스템으로 통합 운영
- (의미) 이 기술적 요소는 단순한 탐사 수단을 넘어, 과학적 깊이와 전략적 유연성을 높이는 핵심기술로 평가됨
 
□ (국제 비교) 톈원 3호 임무는 단순한 기술 경쟁을 넘어, 화성 샘플 반환이라는 인류 우주탐사의 중요한 이정표로서 미·중 간의 전략적 우주 주도권 경쟁이 본격화되었음을 상징
○ (중국) 전반적으로 중국의 톈원 3호는 시간표와 임무 구조에서 비교적 간결하고 효율적인 구조를 보유하고 있으며, 드론 활용 등 기술적 창의성이 부각되고 있음
○ (미국) NASA/ESA는 다국적 협력 및 검증된 시스템 활용을 통해 리스크 분산과 과학적 검증 가능성을 확보하는 전략을 구사 중임
 
 
<참고자료>
(25.6.23, 智慧无线加油站) 【火星快报】天问三号再曝重磅进展:将用“无人机”在火星上采样!
(25.6.19, Nature Astronomy) In search of signs of life on Mars with China’s sample return mission Tianwen-3
 
작성자: 우만주 연구원(yumanshu87@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