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향 게시판

게시글 제목, 작성일, 조회수, 내용을 포함합니다.

중국의 Next-AI 플랜,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범부처 중장기 계획 발표
  • 등록일2025.08.18
  • 조회수481
□ 1차 ‘중국 뇌 계획(2016년)’ 후속 버전으로 공업신식화부 등 7개 부처*가 ‘뇌-컴퓨터 인터페이스(Brain-Computer Interface, BCI)산업 혁신 발전 촉진 의견’을 공동 발표하고, 단계별 목표와 5대 중점 과제를 제시(25.8.8)
 
□ Brain-Computer Interface의 시장 규모는 2024년 32억 위안에서 2028년 61.4억 위안으로 연평균 17.7% 성장할 전망
(기술 개요) BCI는 뇌에서 발생하는 전기 신호를 센서로 측정·분석해, 생각만으로 컴퓨터나 로봇 등 기기를 직접 제어하는 기술임
- 두피에 센서를 부착하는 비침습형(non-invasive)과 뇌에 칩을 삽입하는 침습형(invasive)이 있으며*, 의료·재활, 환자 의사소통, 게임·가상현실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됨
* 현재 기술·윤리 등 제약으로 비침습형이 시장 규모와 성장률 모두 가장 높으며, 침습형은 시장 점유율 10% 미만 수준임
 
 
(정책 배경) 중국은 2016년 뇌과학·뇌 모방 연구를 ‘과학기술혁신 2030’에 포함하고, 2021년 ‘중국 뇌 계획’을 공식화해 핵심기술 개발과 제품화를 추진했으며, 2024년에는 표준화 계획과 위원회 설립(공업신식화부)을 통해 인터페이스·뇌정보 처리·보안 표준화를 진행 중임
(산업 성과) 2024년 중국 BCI 시장은 32억 위안(약 6,182억 원) 규모*로 성장했으며, 북경·상해 등에서는 혁신센터와 공동연구실을 통해 임상시험, 기능 개발, 표준화를 적극 추진하고 있음
* ′24년 중국 BCI 시장 규모 32억 위안(성장률 18.8%), ′28년까지 61.4억 위안(약 1.1조 원)으로 연평균 17.7% 성장 전망
 
□ 공업신식화부 등 7개 부처*가 ‘뇌-컴퓨터 인터페이스(Brain-Computer Interface, BCI)산업 혁신 발전 촉진 의견’을 공동 발표하고, 단계별 목표와 5대 중점 과제를 제시(25.8.8)
* 공업신식화부, 국가발전개혁위원회, 교육부, 국가위생건강위, 국무원 국유자산감독관리위, 중국과학원, 국가약품감독관리국
(목표) ‘의견’은 중국 최고 수준의 BCI 산업 혁신 정책으로, ′27년까지 전극·칩·완제품을 국제 선도 수준으로 끌어올리고 기술·산업·표준 체계를 완비하며, 2030년까지 산업 생태와 글로벌 선도기업을 육성하는 것을 목표로 함
(과제) △ 소프트웨어·하드웨어 기술 개발 △ 고성능 제품 개발 △ 기술 성과의 실용화 촉진 △ 혁신 주체 역량 강화 △ 산업 지원 능력 제고 등 5대 중점 분야, 14개 세부 추진 과제를 제시
 
 
□ 시사점
○ 과거에는 북경·상해·광동 등 지방정부가 ‘행동방안’이나 ‘미래산업계획’을 개별적으로 추진하며 일부 세부 분야에서 시범 사례를 만들었으나, 국가 차원의 종합 전략과 자원 통합은 미흡했고, 연구개발과 응용이 분리되는 등 체계성이 부족했음
○ 이번 ‘의견’은 공업신식화부 등 7개 부처가 처음으로 국가 차원에서 기술 개발, 기업 육성, 응용 확산, 플랫폼 구축, 윤리 강화까지 전 주기를 아우르는 배치를 통해 혁신 생태계를 마련한 것으로, 중국 BCI 산업이 글로벌 상위권으로 도약할 수 있는 기반을 확립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큼
 
<참고자료>
(25.7.30, 工信部) 七部门关于推动脑机接口产业创新发展的实施意见
(25.8.1, 工信部) 《关于推动脑机接口产业创新发展的实施意见》一图读懂
(25.8.7,人民政府网) 图表:七部门:到2027年脑机接口关键技术取得突破
(24.8.28, 智研咨询) 2024年全球及中国脑机接口行业发展现状分析及市场格局分析
(25.8.8, 新华网) 七部门:推动脑机接口产业创新发展
(25.1.8, 北京市人民政府) 《加快北京市脑机接口创新发展行动方案(2025-2030年)》
 
작성자: 정리 연구원(miouly@kostec.re.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