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中 과기부 ‘15차 5개년 계획’ 국제협력 전략 드러내, 기술+인문 융합 협력 확대 | ||
|
||
|
□ 2025년 7월 29일, 중국 과기부는 북경에서 ‘전국 국제과학기술협력 업무회의’를 개최하고, 과학기술 외교 전략을 구체화하는 자리로 국제협력의 역할과 방향성을 제시
○ (개요) ‘전국 국제과학기술협력 업무회의’는 중국 과기부가 주관하는 연례 국가급 회의로, 국제협력 성과를 점검하고, 글로벌 과학기술 환경 변화에 대응한 차기 과제를 논의·지시하는 기능을 수행
- 지난 5년간 회의는 ‘일대일로(一帶一路)’ 협력 강화, 기초연구 기반 확대 등을 중점적으로 추진
![]() ○ (2025년 회의 주요 내용) 이번 회의에서는 ‘14차 5개년 계획’ 국제과학기술협력의 성과를 평가하고, 대내외 환경과 협력과제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15차 5개년 계획’ 국제협력 전략을 공동 설계
- (외교 연계 강화) 국가 정상급 외교*(元首外交)를 전략적 기반으로 삼아 과학기술 협력의 외연과 위상을 확대
* 정상 간 외교 합의를 이행하기 위해 부처 간 협력 체계를 강화하고, 기후변화·식량안보 등 글로벌 공동 과제에 대응할 수 있는 과학기술 협력도 본격화함
- (정부 간 및 민간 협력 확대) 정부 주도의 협력 채널과 민간 주체 간의 실질적 교류를 병행 추진함으로써, 보다 유연하고 지속가능한 협력 생태계를 조성
- (‘일대일로’ 협력 고도화) ‘일대일로 과학기술혁신 행동계획(2017)’의 고품질 이행을 통해 공동 연구 및 성과 공유 기반을 강화하고, 파트너국과의 융합형 혁신모델을 구축
- (연구환경 국제화) 국제 수준의 연구 환경 구축을 위한 제도 개선과 글로벌 공동연구 기반 확대
- (과학기술 인문교류) 과학기술과 인문 분야* 간 연계 교류를 통해 협력의 다층화·지속성 제고
* 과학기술계·교육계·산업계·언론계 등 다양한 주체가 참여하는 다층적 교류를 통해 중국의 과학기술 혁신 환경과 문화적 가치에 대한 국제적 공감대를 확산시키는 전략임
□ 시사점
○ 중국은 기초연구 강화와 함께 ‘일대일로’, 정상외교, 인문교류를 연계한 다축 협력 체계를 구축하고 있으며, 과학기술 협력이 인재 교류와 문화적 소통까지 확장되는 흐름을 보이고 있음
○ 특히, 2024년 6월 제15차 한·중 과학기술공동위원회에서 체결된 ‘과학기술 인문교류’ MOU를 계기로 한·중 청년과학자 교류, 공동 창업 및 연구, 한·중·일 3자 협력 등이 본격적으로 추진되며, 과학기술을 매개로 한 인문 교류의 외연이 확대되는 양상을 나타냄
<참고자료>
(25.7.30, 锐科技) 2025年全国国际科技合作工作会议在京召开
(25.5.9, 科技部) 科技部国际合作司关于征集2025年度“中韩青年科学家交流计划”
작성자: 정리 연구원(miouly@naver.com)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