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향 게시판

게시글 제목, 작성일, 조회수, 내용을 포함합니다.

중국 디지털정부, AI가 바꾼 행정현장
  • 등록일2025.08.01
  • 조회수404
□ (배경 및 발전 단계) 중국은 지난 40여 년간 정보화·디지털화 과정을 단계별로 추진하며 체계적인 디지털정부 발전 모델을 구축
○ 구체적으로는 △정보화 초기(1978~1992년), △업무 디지털화 추진기(1993~2001년), △데이터 기반 업무통합 시기(2002~2016년), △디지털정부 전환기(2017년~현재) 네 단계로 구분
 
 
□ (AI 기반 전환 전략) 디지털 기술은 디지털정부 고도화의 핵심 수단이며, 이 중 인공지능은 행정서비스·도시운영·공공행정 등 다양한 분야에서 높은 파급력과 선도 효과를 통해 핵심 역할을 수행
 
 
□ (정책 및 제도 기반) 2023년 7월, 국가인터넷정보판공실 등 7개 부처는 ‘생성형 인공지능 서비스 관리 방법’을 공동 발표했으며, 생성형 AI 서비스에 대한 심사 기준 및 분류·등급별 관리체계를 명확히 규정
○ 이에 따라 다수의 지방정부는 대규모 언어모델(LLM)을 행정서비스에 적용하고, 제도 정비와 실증 적용을 병행
 
 
□ (기술·산업 생태계) 2024년 기준, 최소 56개 기업이 행정 서비스 분야에 특화된 대규모 AI 모델 구축을 추진 중이며, 이 중 Baidu, Zhipu AI, iFLYTEK, Alibaba Cloud 등 15개사는 제품 등록을 완료하고 실제 행정 서비스에 적용하고 있음
○ 특히 공문서 작성, 정책 지원, 스마트시티 운영 등 행정 전반에 AI 모델이 도입되고 있으며,이를 위해 Huawei, Alibaba, Tencent, Baidu 등 클라우드 기업, China Telecom, China Mobile, China Unicom 등 통신사, 그리고 H3C, Taiji 등 솔루션 기업과 Intellifusion 등 AI 전문 기업들이 함께 기술 기반을 구축
 
 
□ (대표 도입 사례) 2025년 3월 기준, 중국 정무 서비스 플랫폼의 지능형 서비스 적용률이 95%를 넘었으며, 특히 DeepSeek 등 대규모 AI 모델 도입을 통해 민원처리의 지능화와 효율화가 본격 추진되고 있음
○ 사례 1: 흑룡강성 + China Mobile
- (수요) 흑룡강성은 ‘한 번에 끝내는 민원 처리(一件事一次辦)’를 목표로 복잡한 정무 시스템을 개선하고 있으며, ‘수파오룽장(數跑龍江)’ 프로젝트* 아래 전국 최고 수준의 정무 서비스를 지향하고 있음
* 흑룡강성은 2022년 9월부터 ‘수파오룽장(數跑龍江)’을 핵심 슬로건으로 디지털정부 프로젝트를 추진했으며, 전국 최고 수준의 효율적이고 편리한 정무 서비스를 목표로 ‘6대 최적(최소 절차, 최소 서류, 최단 기간, 최소 비용, 최적 편의성, 최고 만족도)’을 구현
- (솔루션) China Mobile은 ‘주톈(九天)’ 정무 AI 모델을 기반으로 스마트 어시스턴트 ‘정무 지능 비서’를 구축, 음성인식·의도파악·자동응답 등 6개 기능을 통합하여 민원 안내·업무 진단 기능 제공
- (성과) 누적 3,100만 명 대상 스마트 고객 응대 제공, 정무 지능 비서 호출 1,071만 회, 시민 만족도 98.7%, 질의응답 정확도 85%, 6,000 건 이상의 민원 대응 가능
○ 사례 2: 선전시 + DeepSeek
- (수요) 정책정보 접근성과 민원 편의성 강화를 위해 통합형 정무 AI 도입
- (솔루션) 2025년 2월부터 ‘i선전’ 플랫폼에 DeepSeek 모델 기반 AI 어시스턴트 ‘선샤오이(深小i)’ 탑재
- (성과) 정책문서 9만 건, 질의응답 68만 건을 기반으로 DeepSeek 지식베이스 구축, 응답 정확도 약 90% 달성
○ 사례 3: 항저우시 City Brain*+ 알리바바 클라우드
* 항저우 City Brain은 2016년 교통 문제 해결을 시작으로 출범해 현재는 11개 분야, 48개 응용으로 확장된 중국 대표 스마트시티 플랫폼으로, 일일 8,000만 건 이상 데이터를 처리하며 전 영역의 지능형 도시 운영을 지원
- (수요) 도시 문제 전반에 대한 실시간 통합 관리 필요
- (솔루션) 알리바바 클라우드 기반 모델을 통합한 ‘City Brain’ 플랫폼을 구축, 신호등 제어, 환경 모니터링, 응급 지휘 등 다차원 기능 실현
- (성과) 도로속도 15% 향상, 사고·구급차 대응시간 50% 단축, 쓰레기 수거 효율 28% 향상, 연료비 연간 1,200만 위안(약 23억 2,788만 원) 절감
○ 사례 4: 장쑤성 + 화웨이 ‘천기경(天机镜)’ 모델
- (현황) 12345 핫라인 민원 증가에 따른 빠른 응대 및 여론 분석 역량 강화 필요
- (솔루션) 화웨이 Ascend 칩·판구(盤古) 모델·산업 데이터를 통합한 ‘정밀 예측, 조기 경보, 신속 대응’ 스마트 도시 운영체계 구축
- (성과) 보험 분야 1.7만 건 자동 지급, 심사 속도 80% 향상, 처리시간 48% 단축, 운영비용 26% 절감, 2025년 중국 정무 AI 대표사례로 선정
 
<참고자료>
(25.1.31, CAICT) 数字政府建设发展研究报告
(25.2.25, 中国日报网) 多地政务系统接入DeepSeek,“AI公务员”上岗将带来哪些影响?
(24.6, 艾瑞咨询) 中国政务行业大模型发展洞察
(25.7, 立法会秘书处) 深圳市使用人工智能輔助政務情況
(25.4.23, 中国建设报) 杭州全面启动城市大脑3.0建设
(25.7.15, 新华报业) 国产大模型加速刷新应用进度条!城市安全有了天机镜,看病报销快成“闪电侠”
 
작성자: 정리 연구원(miouly@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