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2년 디지털 중국 발전보고’ 발표 | ||
|
||
|
□ ′22년 중국 디지털 경제 규모는 50조 2,000억 위안(약 9,400조 원)으로 GDP의 41.5% 차지(5.23)
○ 올해 2월 국무원은 ‘디지털 중국 건설 종합 계획(數字中國建設整體布局規劃)’을 발표하고 ‘디지털 중국 2522 체계 구축방안’을 제시
- ′25년까지 디지털 차이나 건설을 위한 기반을 구축하고, ′35년까지 중국의 디지털화를 세계 최고 수준까지 끌어올리기 위한 구체적인 목표 제시
- ‘2522 체계’에서 제시한 정책 방향에 따라 향후 10년간 디지털 중국 건설 추진방안 마련
※ 2522체계는 2개 기반(디지털 인프라와 데이터 자원), 5대 디지털화 영역(경제·정치·문화·사회·생태계) 일체화, 2개 역량(디지털기술혁신과 디지털안보), 2개 환경(국내외 국외)을 의미함
![]() ○ ′22년 기준 중국 디지털 경제 규모는 50조 2,000억 위안(약 9,400조 원)으로 전년대비 10.3%를 증가하여 GDP의 41.5% 차지( 2022년 디지털 중국 발전 보고, 국가인터넷정보 판공실)
- 전자정보제조업은 15조 4,000억 위안(약 2,863조 5,000억 원)의 영업이익을 달성했고, 소프트웨어 산업은 10조 8,100억 위안(약 2,010조 원)으로 전년대비 11.2% 증가
* 소프트웨어 산업 중 정보기술서비스가 7조 128억 위안(약 1,304조 원)으로 업계 전체 수입의 64.9%를 차지
- 클라우드컴퓨팅 및 빅데이터 서비스는 총 1조 427억 위안(약 194조 원)으로 전년대비 8.7% 증가해 정보기술서비스 수입의 14.9%를 차지
- 집적회로 설계는 2,797억 위안(약 52조 원), 전자상거래 플랫폼 기술 서비스는 1조 1,044억 위안(약 205조 원), 통신사업은 1조 5,800억 위안(약 294조 원) 달성
![]() ○ ′22년 기준, 중국내 개통된 5G 기지국은 총 231만 2,000개이며, 5G 가입자는 5억 6,100만 명으로 전 세계 이용자의 60% 이상 차지
- 기가인터넷 건설 표준에 부합하는 도시 수는 110개가 넘고, 5억 가구 이상이 사용가능한 기가인터넷 설비 구축
- 모바일 사물인터넷 단말기 사용자 수는 18억 4,500만 가구로 세계 최초로 사물인터넷 단말기 사용자 수가 인구 수를 초과
- IPv6 활성 사용자 수는 7억 2,800만 명에 달했으며, 모바일 네트워크 IPv6 트래픽이 전체의 50% 차지
![]() ○ 데이터 공급 능력이 지속적으로 향상되어 ’22년 기준 중국 데이터 생산량은 8.1ZB로 전년 대비 22.7% 증가하였고 전 세계 10.5% 차지
- ′22년 말까지 중국 데이터저장 규모는 724.5EB로 전년대비 21.1% 증가하여 전 세계 데이터 저장량의 14.4% 차지
- 중국 빅데이터 산업 규모는 1.57조 위안(283조 4,949억 원)으로 전년대비 18% 증가
○ ′22년 기준, 중국 시가총액 상위 100위권 인터넷 기업의 총 R&D 투자액은 3,384억 위안으로 전년대비 9.1% 증가
- R&D 투자 상위 1,000위권 민영기업 중 컴퓨터·통신· 전자장비제조업, 인터넷 및 관련 서비스업의 평균 R&D 집중도는 각각 7.33%와 6.82%에 달함
- 커촹반(科创板)과 창업반(创业板)에 상장된 전략적 신흥 산업 기업 중 디지털 분야 관련 기업이 각각 40%, 35%로 나타남
![]() ○ ′22년 말 기준, 중국 내 총 48개의 데이터거래기관이 설립되어 데이터 자원 유통을 추진 중
- (상하이 데이터 거래소) 다양한 주체가 데이터 공급을 늘리고 적극적으로 디지털 생태계 구축
- (베이징 데이터 거래소 플랫폼) 국내 최초 데이터 거래 플랫폼으로 데이터 거래 전과정 모니터링을 통해 합법적 데이터 유통 추진
- (선전 데이터 거래소) 선전-홍콩 데이터 거래 협력 메커니즘 중심으로 데이터의 콰징(跨境, 국경 간 전자상거래) 거래를 적극 추진
<참고자료>
数字中国发展报告(2022年)
数说《数字中国发展报告(2022年)》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