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향 게시판

게시글 제목, 작성일, 조회수, 내용을 포함합니다.

‘14차 5개년 계획 성과’ : 제조업, 15년째 변함 없는 세계 1위
  • 등록일2025.09.12
  • 조회수263
□ 중국은 ‘14차 5개년 계획(′21~25년)’ 마무리를 앞두고 부처별 성과발표회를 이어가고 있으며, 9월 9일 제18차례 발표회에서는 공업정보화부가 지난 5년간의 산업 성과를 6대 분야로 소개함(25.9.9)
① 공업·제조업 성장
- 20~24년 동안 중국의 공업 부가가치는 31.3조 위안(약 6,095조 원)에서 40.5조 위안(약 7,890조 원)으로, 제조업 부가가치는 26.6조 위안(약 5,182조 원)에서 33.6조 위안(약 6,546조 원)으로 증가
- 제조업 부가가치는 세계 비중 약 30%로, 15년 연속 세계 1위를 유지하였고, 504개 주요 공업 제품 중 다수가 세계 생산 1위를 기록
 
 
② 혁신 역량 확대
- 규모 이상* 제조업 기업의 R&D 지출 비율이 매출 대비 1.6% 이상으로 확대되었고, 570여 개 기업이 글로벌 R&D 투자 2,500대 기업에 포함
* 규모 이상 기업은 연간 주력 사업 수입이 일정 기준 이상인 기업을 말하며, 산업 분야의 경우 연 2,000만 위안(약 38.9억 원) 이상을 기준으로 함(2011년부터 적용)
- 우주·항공·대형장비·신약·인공지능·양자통신 등 분야 세계적 성과 창출
 
 
③ 첨단·친환경 제조 성장
- 2020~2024년 동안 장비제조업과 첨단기술제조업 부가가치는 각각 연평균 7.9%, 8.7% 증가하였으며, 산업 내 비중도 34.6%, 16.3%로 확대됨
- 신에너지자동차는 2024년 생산량이 1,300만 대를 돌파하며 10년 연속 세계 1위를 유지하였고, 국가급 친환경 공장도 6,430개가 구축됨
 
④ 디지털 전환 확산
- 5G 기지국 459.8만 개가 구축되었으며, 중점 산업인터넷에 연결된 장비는 1억 대를  초과
- 스마트공장* 3.5만 개(기초급), 230여 개(우수급)가 구축되었고, 인공지능과 로봇 응용이 확산되면서 휴머노이드 로봇은 가정과 공장 단계로 진입함
* 중국 스마트공장은 스마트제조 역량 성숙도 평가체계(CMMM)에 따라 기초급과 우수급으로 구분되며, 기초급은 기본적인 데이터 수집·자동화·정보화를 충족해 ‘있느냐’에 초점을 두는 반면, 우수급은 설계·생산·공급망 전 과정의 지능형 통합·최적화를 실현해 ‘수준이 얼마나 높은가’를 보여주는 산업 선도 모델임
 
⑤ 산업체인·공급망 안정
- 집적회로, 공작기계, 의료장비, 조선 등 분야에서 핵심 기술과 전략 제품의 산업화 성과를 거두었으며, 특히 100여 건의 국가 표준과 수천 건의 특허가 제정·출원됨
- 공급망 자립성이 강화되고, 국제 협력 이니셔티브가 발족되어 글로벌 파트너십이 한층 확대됨
 
⑥ 기업 경쟁력 육성
- 2025년 7월 기준 규모 이상 공업기업 수는 2020년 대비 13.8만 개 증가했으며, 64개 제조업 기업이 세계 500대 기업에 포함됨
- 중소기업은 6,000만 개 이상, 첨단 기술기업은 50.4만 개, 전정특신(專精特新) 중소기업 14만 개, ‘소거인(小巨人)’ 기업 1.46만 개, 제조업 단일 챔피언 1,557개가 육성됨
* 전정특신(專精特新) 중소기업은 전문화·정밀화·특색화·혁신화 역량을 갖춘 혁신형 기업으로, 규모는 작지만 특정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냄. ‘소거인(小巨人)’ 기업은 이들 중 핵심 기술과 높은 시장 점유율을 보유한 선도형 사례이며, 제조업 단일 챔피언 기업은 세부 제품 분야에서 국내외 시장 점유율과 기술력이 장기간 1위를 유지하는 정점 기업을 의미함
 
<참고자료>
(25.9.9, 工信微报) 李乐成出席“高质量完成‘十四五’规划”主题新闻发布会 介绍“十四五”时期大力推进新型工业化,巩固壮大实体经济根基有关情况
(25.9.9, 工信微报) 六个“更加”,速览“十四五”推进新型工业化成绩单
 
작성자: 정리 연구원(miouly@kostec.re.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