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향 게시판

게시글 제목, 작성일, 조회수, 내용을 포함합니다.

알리바바 AI 칩 도전, 엔비디아 독점 체제 흔들리나?
  • 등록일2025.09.05
  • 조회수651
□ (배경) 미국은 2024년 4월 국가안보를 이유로 엔비디아 H20 칩의 대중국 수출을 금지하고 알리바바를 포함한 주요 클라우드 기업들은 GPU 확보에 큰 어려움을 겪게 되었음
○ 이러한 상황 속에서 알리바바는 TSMC 의존을 줄이고 국산 파운드리 기반의 칩 생산 체제를 가동하면서 ①단기 호환 → ②중기 대체 → ③장기 초월이라는 AI 칩 단계별 로드맵을 수립
 
 
□ 월스트리트저널 보도에 따르면 알리바바가 차세대 AI칩을 테스트 중이며, 중국산 14nm 또는 더 진보된 공정을 기반으로 엔비디아 H20과 동등 수준의 성능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추정(25.9.2)
(기술 개요) 알리바바 AI 칩은 이종 (異構) 컴퓨팅 아키텍처를 통해 고밀도 연산 유닛(計算單元)과 대용량 메모리(LPDDR5X 메모리 대역폭 1TB/s 이상)를 집적한 것으로 예상
- 단일 카드 기준 연산 성능 목표는 300~400TOPS(INT8) 수준으로, 이는 엔비디아 H20(약 300TOPS)와 사실상 동등한 수준에 도달
(기술 우위) 엔비디아 H20 대비 알리바바 신형 AI 칩은 호환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
- (호환성 확보) FP8/FP16 혼합 정밀도 연산을 지원하며, 동적 명령어 변환 계층을 통해 CUDA 생태계와 무결하게 접속 가능
- (개발자 친화성) 기존 코드를 그대로 활용할 수 있어 이식 비용을 70% 이상 절감, 모델 전환 및 배치 효율성을 크게 향상
(생산 전략) 이번 신형 AI 칩은 국산 14nm 공정을 기반으로 하며, 양쯔 메모리(长江存储)와 SMIC(中芯国际)를 활용한 ‘이중 파운드리(双代工)’ 백업 체계를 통해 안정적인 양산을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짐
1) 파운드리 1호 : 양쯔메모리(長江存儲)
- (저장 혁신) 알리바바는 양쯔 메모리의 294층 3D NAND 기술을 활용해 20GB/ ㎟ 저장밀도7,000MB/s의 읽기·쓰기 속도를 달성하여 전 세대 대비 40% 성능 향상
- (로컬 스토리지 확장) 칩당 128GB의 내장 스토리지를 확보해 외부 저장장치 의존도를 줄였으며, 대규모 AI 추론 성능 최적화
2) 파운드리 2호 : SMIC(中芯國際)
- (양산 능력) SMIC의 14nm 생산라인은 양품률 95% 이상, 월 5만 장 규모로 안정적 생산 가능하며 성속 공정으로 인정됨
- (연산 성능) 연산 성능을 500 TOPS 이상으로 끌어올리고, 에너지 효율을 30% 향상 달성
 
□ 알리바바 사례는 중국이 ‘성숙 공정 + 자국 공급망’을 결합해 글로벌 AI 칩 경쟁에서 ‘탈 엔비디아’ 전략을 구체화하고 있음을 보여줌
 
 
<참고자료>
(25.8.31, 芯大侠) 阿里AI芯片三步走战略,即将推出国产14nm推理芯片
 
작성자: 우만주 연구원(yumanshu@kostec.re.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