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향 게시판

게시글 제목, 작성일, 조회수, 내용을 포함합니다.

공업정보화부 외, ‘제조업 신뢰성 향상을 위한 실시 의견’ 발표
  • 등록일2023.07.14
  • 조회수459
□ 기계, 전자, 자동차 3대 산업 중심으로 제조업 신뢰성 향상(7.5)  
○ 공업정보화부 등 5개 부처는 중국 제조업의 고품질 발전 기반을 마련하기 위한 ‘제조업 신뢰성 향상을 위한 실시 의견’을 공동으로 발표 
* 공업정보화부, 교육부, 과기부, 재정부, 국가시장감독관리총국 등 5개 부처 공동 발표 
- (1단계) ′25년까지 3개 신뢰성 범용기술 연구개발 서비스플랫폼, 100개 신뢰성 향상 시범사례, 1000개 기업 신뢰성 수준 향상 목표 달성  
- (2단계) ′30년까지 10대 유형 핵심제품 신뢰성 수준을 세계 선진수준 도달, 신뢰성 있는 공공 서비스 기구 및 인재 육성  
○ 주요 과제로 기계·전자·자동차 산업 기초기술 ‘주지(筑基)’공정과 장비 ‘베이정(倍增)’공정 등 8대 방향 제시 
  1) 제조업 품질과 신뢰성 관리 수준 향상  
- 기업이 GB/T 19004、GB/T 19024 등 선진적인 품질관리 표준을 도입하도록 장려하고 수석 품질관 및 신뢰성 관리부문의 신설, 신뢰성 관리시스템 구축 지원 
  2) 신뢰성 공정기술 R&D와 응용 가속화   
- 모델링·배분·예측 등 일반 신뢰성 디자인기술을 보급하고, 소재 열처리·전자 패키징·기계조립 등 공법 신뢰성 기술의 응용 강화
  3) 기초기술 ‘주지(筑基)’공정과 장비‘베이정(倍增)’공정 추진 
- (기초기술) 핵심 기초부품, 핵심 기초소자, 핵심 기초소프트웨어, 핵심 기초소재 및 선진적 기초공법의 신뢰성 수준을 향상 
- (장비제품) 스마트 농기계, 산업로봇, 신에너지자동차 등 선진형 장비의 신뢰성 향상
 
 
 4) 신뢰성 표준 시스템 보완 
- 기계, 전자, 자동차 3대 산업 분야 범용요구·관리·설계·분석·테스트·평가·보수유지 등 신뢰성 기초 범용표준을 제정하고, 핵심제품의 강제성 표준에 신뢰성 지표 추가 
 5) 계량·테스트 검증 역할 강조 
- 선두주자 기업과 대학이 검사·테스트기구와 공동으로 국가급 표준실험실, 중점 산업 신뢰성 실험실을 구축하고, 전용 신뢰성 실험·테스트환경을 조성하도록 장려 
 6) 디지털기술 응용 가속화  
- 5G, 빅 데이터, 인공지능, 산업인터넷 등 차세대 정보기술과 신뢰성 공정 간의 심층적인 융합을 촉진하고, 디지털기술로 핵심제품의 신뢰성 향상
 
 
<참고자료>
制造业可靠性提升实施意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