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향 게시판

게시글 제목, 작성일, 조회수, 내용을 포함합니다.

‘중국 AI 신약 개발 산업 지도’ 분석
  • 등록일2023.08.14
  • 조회수735
□ AI 신약 개발 기업은 아직 초기 단계에 있으며 북경 소재 기업이 가장 비중이 가장 높음(8.3)
○ 첸잔(前瞻) 산업연구원은 최근 ‘중국 AI 신약 개발 산업 지도’를 발표
1) AI 신약 개요
- AI 신약 개발(AIDD)이란 오리지널 의약품 및 혁신의약품의 R&D 과정에서 AI 기술을 도입하여 신약 개발 목적을 달성하는 것을 지칭    
- 전통적인 컴퓨터보조 약물 설계(CADD)에 비해 기초 요소 및 추진 방식에서 다르며, AI 기술은CADD 분야에 간접적으로 응용이 가능함 
2) 산업체인 
- 업스트림은 주로 AI 기술 중심으로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로 구분하는데, 클라우드컴퓨팅, DB, GPU 칩, 자동화실험실 및 서버 등 해당 
- 미드스트림은 기업 기능 분포에 따라 약물발견 단계, 전임상 단계, 임싱시험 단계로 구분 
- 다운스트림의 목표 고객은 주로 전통 제약기업과 임상시험수탁기관(CRO) 기업으로 구성 
 
 
3) 산업 발전 현황  
 ▸약물발견 단계: 대부분 약물 발견에 AI를 사용  
- 동 단계 사업은 주로 타깃 발견, 선도화합물 연구 및 화합물 선별, 화합물 합성 등 해당 
- 중국 내 AIDD 초창기 기업의 대부분이 기계학습(또는 심층학습) 기술을 이용해 선도화합물의 설계, 최적화 및 합성 사업을 추진 
- 선스커지(深势科技), 잉구이즈넝(英硅智能), 커후이즈야오(科辉智药) 등 대표기업이 약물발견의 전체 단계 사업을 추진 중 
 ▸전임상 단계: 주로 독성·대사·약동학(ADMET) 예측 사업 추진  
- 주로 결정구조 예측(CSP), 제형 예측, ADMET 예측, 전임상 실험결과 예측 등 해당 
- AIDD 초창기 기업은 해당 단계에서 주로 ADMET 예측 사업을 추진하고 있는데, 대표기업으로 즈구성커(智峪生科), 페이미즈커지(费米子科技), 지타이의약(剂泰医药) 등이 해당  
 
▸ 임상시험 단계: 링커커지(零氪科技) 등 3대 기업 관련 사업 개시   
- 임상시험 단계는 중 임상시험 설계, 환자 모집 및 그룹 분류 등 사업 해당 
- 화선즈야오(华深智药), 웨이즈귄(未知君), 링커커지(零氪科技) 등 3대 기업이 임상시험 설계단계의 사업을 추진 중이며, 이중 링커커지는 환자모집 및 그룹 분류 사업도 개시 
 
4) 산업 경쟁 구도
- 중국 내 AI 신약 개발 기업은 주로 베이징, 광동, 상하이, 장쑤 및 저장 등지에 집중되었으며, 이중 베이징의 비중이 29.2%로 가장 많고, 광동과 상하이 비중은 각각 20.8%를 기록 
 
5) 기업 경쟁력
- 종합경쟁력을 보면, 지타이의약(剂泰医药)과 텐센트 iDrug의 사업 영역이 4개 이상으로 가장 광범위하고, 지타이의약, 페이미즈커지, 징타이커지 3개 회사의 개발 중 신약 수가 각각 10건을 초과하는 등 선두그룹을 차지 
- 특히 지타의약의 경우, AI 기술을 활용한 RNA 약물과 소분자 신약 개발에 주력
 
 
<참고자료>
预见2023:《中国AI新药研发(AIDD)行业全景图谱》(附市场现状和发展趋势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