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향 게시판

게시글 제목, 작성일, 조회수, 내용을 포함합니다.

‘2023 중국 수소에너지산업 연구보고’ 분석
  • 등록일2023.09.11
  • 조회수1119
□ 수소에너지 기술과 시장은 아직 초기 단계에 있으며 ′25년에 폭발적으로 성장 전망(8.24)
○ 8월 22일 창업방(創業邦) 연구센터는 2023 Demo World 기업혁신포럼에서 ‘2023 중국 수소에너지산업 연구보고(21世纪的终极能源”)’를 발표  
- 중국은 글로벌 1위의 수소생산 국가이며 ′60년에 수소생산량이 1억 톤을 초과할 전망 
- ′20년 기준, 수소생산량은 3,342만 톤이며, ′30년 3,715만 톤(에너지소비 비중 5%), ′60년 1억 3천만 톤으로 증가해 에너지소비의 20%를 차지할 것으로 예상
- 국가 차원에서 연료전지자동차 시범도시클러스터 5개를 건설 중이며 최고 18억 7천만 위안 (3,394억 7,980만 원) 지원
 *′20년 ‘연료전지 실증적용 시행 고시’를 발표하고 연료전지 차량 실증도시 클러스터 사업 착수하여 징진지, 광동 3개 도시 집적 시범구가 1차 선정(′21.8), 이어 허베이, 허난 2차 도시집적 시범구 선정(′21.12)
 
- 중앙기업의 국가 수소에너지팀은 수소에너지 프로젝트 투자와 건설을 가속화
 
○ 중국은 수소에너지 산업은 초기 생산-저장운송-충전-연료전지․시스템 통합의 주요 기술 프로세스를 확보하는 전체 산업망을 형성하고 있음
 
-  (생산) 현재 화석연료 수소생산이 위주를 이루고 향후 그린수소가 주류가 될 전망임, 현재 수소의 대부분은 회색수소와 블루수소이며, 앞으로는 수전해로 대표되는 신재생에너지원을 활용한 수소생산이 주목을 받는 전망  
-  (저장운송) 고온 가스 수소에너지 저장이 위주이고 유기 액체 수소 및 고체 수소 저장은 산업화 초기 단계임. 중국의 수소에너지 시장은 작으며, 실증응용분야는 산업용 부생수소와 재생에너지 수소현장에 집중되어 장튜브 트레일러가 주로 사용   
- (수소 충전) ′22년말 기준 중국 내 수소충전소 수는 누적 358개로 세계 1위를 차지하였으며, 이중 운영중인 수소 충전소 수는 245개로 집계 
* 지역적 분포를 보면 광동이 47개로 1위, 산동성과 장쑤성이 27개와 26개로 2~3위를 차지 
- (수소연료전지) 중국의 수소연료전지 스택 및 핵심부품은 전반적으로 세계 선진수준이나,  기초소재와 부품은 아직 수입에 의존, 연료전지 산업 경쟁 가속화 
- (산업 활용) 그린수소는 메탄올, 합성암모니아 및 정제 제품에서 저탄소 대체 가능성이 커서 화학산업이 탄소중립을 달성하는데 기여할 전망. ′30년까지 재생수소는 메탄올이 가장 크게 적용되고 그 뒤를 암모니아 합성 및 정제가 이을 전망  
 
○ 중국의 수소에너지 산업은 최근 2년간 투자유치가 활발한 편이며, 주로 엔젤투자와 시리즈 A 등 초기단계에 집중되어 있음   
- ′23년 6월말 기준, 중국 내 누적 240여 개의 수소에너지 기업이 총 248억 위안(4조 5,021억 9,200만 원) 투자를 유치하였으며, 이중 ′22년 한해 총 119.3억 위안을 유치  
- 지역별 상황을 보면 상하이(75건), 장쑤(61건), 베이징(57건) 3곳의 투자유치 건수가 전체의 58.5%를 차지 
 
○ 중국은 ′25년에 수소에너지산업의 폭발적 성장기를 맞이하고, 화공 등 분야에서 녹색 수소 활용의 우선 대상이 될 전망 
- 수소에너지 관련 기술과 시장이 아직 산업화 초기 단계에 있지만, 신에너지 발전장비 용량이 증가하고 그린수소 생산원가가 낮아지면서 성장이 가속화될 전망 
- 특히 수소연료전지 관련 양자교환막, 촉매제, 카본 페이퍼 등 핵심부품의 자립화 가속화 추세
 
<참고자료>
2023中国氢能产业研究报告