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향 게시판

게시글 제목, 작성일, 조회수, 내용을 포함합니다.

‘AI 인재 키우는 나라’, 中 정부·대기업이 함께 나선 인재 확보전
  • 등록일2025.10.24
  • 조회수928
□ (기업) 텐센트(Tencent)는 인공지능(AI) 기초연구와 응용혁신 분야의 청년 연구자를 육성하기 위해 ‘청운(青云) 장학금’ 프로그램을 전면적으로 가동(25.10.14)         
(지원대상) 중국 내륙 및 홍콩·마카오·대만 지역 대학(원)에 재학 중인 중국 국적의 석사 및 박사과정 학생을 대상으로 AI 인재를 집중 육성하기 위한 청년층 맞춤형 지원 사업으로 설계됨
(연구 분야) 컴퓨터 과학, 인공지능, 데이터 과학, 머신러닝 등 핵심기술 분야뿐만 아니라, 의료·교통·로봇 등 AI+X 융합 응용분야까지 포함하여 연구의 폭을 확장
(지원 규모) 이 프로그램은 총 15명의 장학생을 선발하며, 1인당 50만 위안(약 1억 원) 상당의 연구비 및 기술자원을 제공
- 현금 20만 위안(약 4,000만 원): 연구활동비, 학술발표, 국제학회 참가, 개인 성장 프로그램 등 자유롭게 활용 가능
- 클라우드 컴퓨팅 자원 30만 위안(약 6,000만 원): 텐센트 클라우드(Tencent Cloud)에서 약 3개월간 고성능 GPU 인스턴스를 24시간 연속 가동할 수 있는 컴퓨팅 자원을 제공하고 대형언어모델(LLM) 및 다중 모달 AI 연구에 필요한 연산환경을 조성
* 선정자는 텐센트 산하 AI 연구소(Tencent AI Lab) 클라우드 사업부에서 인턴십 및 정규채용 연계 기회를 제공
 
 
□ (정부) 중국은 AI 인재 양성을 위해 청소년부터 성인까지 전방위적 교육 시스템을 구축하고, 해외 인재 유치를 위한 파격적인 정책과 적극적인 지원을 통해 AI 인적자원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음
○ (대학) 주요 대학에 AI 관련 학과 신설, 기업과의 실무 중심 프로젝트 교육을 통해 산업 현장에 즉시 투입 가능한 AI 인재 양성
* 2018년 35개 대학, 1,232명의 AI 전공 학생으로 시작한 중국의 AI 인재 양성이 2024년 535개 대학, 43,333명 규모로 확대되며 7년간 35배 이상의 양적 성장 달성
○ (산업) 디지털 인재양성 행동 계획에서는 AI, 반도체, 데이터 보안 등 산업 직업 표준 수립, 연간 8만 명 양성 목표로 기업 및 현장 연계 강화
○ (비자) 중국 정부는 과학기술 분야의 청년 해외 인재에게 발급하는 ‘K비자’를 도입하여 외국 인재의 중국 내 연구·창업 활동 진입 장벽을 완화
 
 
<참고자료>
(25.10.14, 界面新闻) 腾讯全面启动青云奖学金,每位可获价值50万元支持
(25.5.28,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 주요국 AI 인재 양성 및 유치 정책 : 현황 및 시사점
 
작성자: 우만주 연구원(yumanshu@kostec.re.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