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향 게시판

게시글 제목, 작성일, 조회수, 내용을 포함합니다.

양자컴퓨팅, 美·中·EU 삼극 패권 구도 본격화
  • 등록일2025.10.11
  • 조회수429
□ 2025년 9월, 중국정보통신연구원(CAICT)은 ‘양자컴퓨팅 발전 동향 연구보고(2025년)’를 발간하여 세계 주요국의 R&D 투자 현황, 논문·특허 성과, 기술 노선, 산업 현황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
(투입) 중국·미국·EU는 양자컴퓨팅 분야에서 ‘삼극(三極) 경쟁 구도’를 형성하고 있으며, 특히 중국은 정책 체계를 기초연구 중심에서 산업 생태 전반으로 확장하는 단계에 진입
- (미국) 「국가양자이니셔티브법(NQI)」에 따라 2019~2025년 동안 누적 60억 달러(약 8조 4,126억 원) 이상을 집행하였으며, 2025년에도 약 10억 달러(약 1조 4,021억 원) 규모의 예산을 유지
- (중국) 2025년 정부 업무보고에서 양자 과학기술을 미래 산업 핵심 분야로 지정하고 투자를 확대하며, 베이징·안후이·상하이·광둥·후베이 등 지역은 미래 산업 펀드, 과학기술 프로젝트, 공공 플랫폼을 통해 연구–창업–인프라 전 단계를 포괄하는 전주기 생태계 구축 추진
- (EU) 2025년 「유럽 양자기술 전략」 및 「유럽 양자 전략」을 발표, 연구·산업화·표준화를 포괄하며 양자 분야 자율적 통제 역량의 전면적 강화를 목표로 추진
(연구성과) 중국은 논문·특허에서 세계 2위를 기록하며 미국과 함께 글로벌 선도 그룹을 형성
- (논문) 전 세계 양자컴퓨팅 논문은 2015년 약 1,000건에서 2024년 5,000건 이상으로 5배 가까이 증가했으며, 중국은 발표 건수 기준 미국에 이어 2위를 기록
* 중국의 논문 1편당 피인용 수(16회)는 캐나다(37회), 미국(32회), 독일(28회)보다 낮아 연구의 질과 영향력에서 격차가 존재
- (특허) 최근 10년간 전 세계 양자컴퓨팅 분야 특허 출원은 총 1.9만 건 이상에 달했으며, 이 중 미국이 49.34%로 1위, 중국이 24.36%로 2위를 기록
 
 
(기술 노선) 현재 양자컴퓨팅 하드웨어는 초전도·이온트랩*·중성원자·광양자·중성원자 등 다양한 노선이 전개되고 있으며 중국은 광양자 분야에서 특화 성과를 보유
* 이온트랩(ion trap) 양자컴퓨팅은 전기장·자기장을 이용해 진공 상태에서 이온(전하를 띤 원자)을 공중에 가두고, 레이저로 이를 제어하여 큐비트로 활용하는 방식
 
 
(산업) 양자컴퓨팅 산업이 빠르게 형성하고 있으며, 기업 수와 자본투입이 지속적으로 확대 중
- (기업 수) 2025년 8월 기준 전 세계 양자컴퓨팅 기업은 400여 개에 달하며, 이 중 미국이 107개, 중국이 42개로 상위권을 차지
* 양자컴퓨터 완제품(整机) 제조 기업은 미국과 중국이 각각 25%, EU가 22%를 차지
- (투자 규모) 2025년 상반기 글로벌 양자컴퓨팅 투자·융자 규모는 20억 달러(약 2조 8,068억 원)를 돌파했으며 그중 미국은 실리콘밸리 창투(VC) 생태계와 글로벌 빅테크 기업의 지원으로 최대 규모의 자금 조달 능력 보유
 
 
<참고자료>
(25.9.29, 中国信息协会) 重磅发布!2025量子计算研究报告揭示全球五大发展趋势
 
작성자: 우만주 연구원(yumanshu@kostec.re.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