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향 게시판

게시글 제목, 작성일, 조회수, 내용을 포함합니다.

중국,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국제표준 선도… BrainCo·Neuralink 맞대결
  • 등록일2025.10.11
  • 조회수408
□ (정책) 중국 정부는 2016년 뇌과학·뇌 모방 연구 (약칭 ‘중국 뇌 계획’)을 ‘과학기술혁신 2030*’에 포함하고, 뇌과학 핵심기술·제품 개발을 본격적으로 추진
* 과학기술 혁신 2030은 ‘국가 혁신 기반 발전 전략 요강’(16.5월) 및 13차 5개년 규획 요강(16년~20년 시행)의 요구에 따라 추진되는 국가 중대 프로젝트로 △항공 엔진, △양자통신, △뇌과학, △국가 사이버 안보, △석탄 청정 이용, △빅데이터, △스마트 제조, △차세대 인공지능 등 16개 분야를 포함됨
○ 2025년 8월 중국 공업정보화부 등 7개 부처*가 ‘뇌-컴퓨터 인터페이스(BCI)산업 혁신 발전 촉진 의견’을 공동 발표하고, 27·30년 단계별 목표와 5대 중점 과제를 제시
* 공업정보화부, 국가발전개혁위원회, 교육부, 국가위생건강위, 국유자산감독관리위, 중국과학원, 국가약품감독관리국
(목표) 중국 최고 수준의 BCI 산업 혁신 정책으로, ′27년까지 전극·칩·완제품 수준을 국제 선도 수준으로 향상시키고 기술·산업·표준 체계를 완비하며, 2030년까지 산업 생태계를 조성하고 글로벌 선도기업을 육성하는 것을 목표로 함
(과제) △ 소프트웨어·하드웨어 기술개발 △ 고성능 제품 개발 △ 기술 성과의 실용화 촉진 △ 혁신 주체 역량 강화 △ 산업 지원 능력 제고 등 5대 중점 분야, 14개 세부 과제를 제시
 
 
□ (표준 제정) 중국 국가약품감독관리국(NMPA)은 최근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의료기기 용어’ 표준(YY/T1987—2025)을 발표하고 2026년 1월 1일부터 시행할 예정(25.9.17)
○ 중국 정부는 이번 표준을 통해 뇌-컴퓨터 인터페이스(BCI) 분야 기본 개념, 패러다임 유형, 신호 처리, 응용 시나리오를 포괄하는 체계적 용어 체계를 구축
- 단순한 기술 탐색 단계를 넘어 표준화·규범화된 발전 단계로 전환할 수 있는 기반 마련
- 현재 ISO, 미국 FDA, EU EMA 등 국제 표준화 기구가 관련 규정을 제정하지 못한 상황에서, 중국이 선제적으로 규범을 확립하며 국제 영향력 확대를 시도
 
□ (기업 동향) ‘항저우 6대 강소기업 (杭州六小龙)’*에 해당되는 비침습형 뇌-컴퓨터 인터페이스(BCI) 전문기업 Brain Co가 Revo 2 지능 의수(仿生手)를 출시
* 딥시크, 유니트리, BraionCO, 게임사이언스, 매니코어(MANYCORE), 딥로보틱스(DEEP Robotics) 등 6개 업체
(기업 개요) Brain Co는 2015년 설립된 하이테크 기업으로, 비침습형 뇌-기계 인터페이스(BCI) 기술 개발과 응용을 선도하며 글로벌 대표기업으로 성장 중
- 주요 제품은 △BrainCo 지능 의수(뇌파 신호를 실제 동작으로 변환하는 제품) △경량 의족(뇌파·AI 알고리즘 기반 스마트 보조기구) △Easleep 수면기기(뇌파 분석 통한 불면증 치료) △FocusZen 집중력 향상 시스템(신경 피드백 기반 집중 훈련) 등을 들 수 있음
(기술 우위) Brain Co가 피부 표면의 신경 전기 신호를 수집하여 인간–기계 상호작용을 구현
 
 
(국제 비교) BCI 연구는 침습형과 비 침습형 2개 방식으로 구분되며 미국 Neuralink는 고정밀 침습형을 선택하고 중국 BrainCo는 비 침습형 방식으로 재활·헬스케어 응용에 집중
 
 
<참고자료>
(25.9.25, 网易) 强脑科技仿生手爆红背后:脑机接口如何重构万亿医疗市场?
(25.9.27, 人民日报) 提供“通用语言”!我国首部脑机接口医疗器械标准发布
 
작성자: 우만주 연구원(yumanshu@kostec.re.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