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80.2점! 중국 지역 혁신 역량 신기록 | ||
|
||
|
□ 중국과학기술발전전략연구원은 푸장(浦江)혁신포럼에서 「2025년 중국 지역 과학기술 혁신 평가 보고서」를 발표하였으며, 이에 따르면 중국의 과학기술 혁신 수준은 80.20점으로 전년 대비 1.77점 상승한 것으로 나타남 (2025.9.21)
* 본 보고서는 5대 영역(①혁신 환경, ②혁신 투입, ③혁신 산출, ④첨단기술 산업, ⑤혁신의 발전 기여)을 중심으로, 12개 2급 지표, 49개 세부 지표를 통해 전국 31개 성·시·자치구(홍콩·마카오·대만 제외)의 혁신 역량을 종합 비교·평가함
○ (지역별 혁신 수준) 상하이, 베이징, 장쑤, 광둥, 저장, 톈진 등 6개 지역이 전국 평균(80.20점)을 상회하며, 중국의 핵심 혁신 거점으로 자리매김함
![]() ○ (주요 권역별 특징) 중국의 지역별 과학기술 혁신은 수도권, 장강삼각주 등 대도시권 중심의 클러스터 형성과 지역 간 협력 체계를 통해 더욱 공고화되고 있음
- 수도권(징진지·京津冀) : 베이징은 R&D 집약도 6.73%로 전국 1위, 톈진은 첨단기술 산업 부문에서 경쟁력 제고, 허베이는 전략 신흥산업 매출 비중 전국 1위를 기록하며 과학기술 집약형 경제권으로 부상
- 장강삼각주(長江三角洲) : 상하이, 장쑤, 저장, 안후이 모두 종합 순위 1~9위권에 포함되며, 기술수입, 기업 R&D 인력, 혁신성과 등 전반에서 우수한 성과 도출
- 웨강아오대만구(粵港澳大灣區) : 광둥은 ‘혁신의 발전 기여’ 지표 전국 1위, 기술 수출 수익도 전국 1위를 기록하며 남부 지역의 혁신 허브로서 주도적 역할 수행
- 장강(長江)경제벨트 : 후베이, 충칭, 쓰촨 등 내륙 도시들은 국가급 공동 혁신 시범구를 중심으로 협력 체계 강화, 첨단기술 산업과 성과 지표 개선 등 균형 잡힌 내륙 혁신 구조를 구축 중
<참고자료>
(2025.9.21, 科技日报) 《中国区域科技创新评价报告2025》发布
작성자: 정리 연구원(miouly@kostec.re.kr)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