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향 게시판

게시글 제목, 작성일, 조회수, 내용을 포함합니다.

공업신식화부 외, 커넥티드카 도로주행 컨소시엄 선정
  • 등록일2024.06.14
  • 조회수589
□ 베이징, 상하이, 광동 등 지역의 9개 연합체를 시범대상으로 선정(6.4)
○ 공업신식화부 등 4개 부처*는 커넥티드카 생산  및 도로 주행을 위한 시범사업을 착수하기 위해 커넥티드카 제조업체, 시행사로 구성된 컨소시엄을 사업 주체로 선정 
* 공업신식화부, 공안부, 주택·도시건설부, 교통운수부 등 4개 부처 
- ‘21년 7월 ‘커넥티드카 도로 테스트 및 시범응용 관리규범’에서  자율주행 테스트 라이선스 발급을 처음 추진
- ‘23년 7월 ‘커넥티드카 접근 및 도로 통행 시범 추진에 관한 통지’를 발표해 제조업체와 운영 주체로 구성된 컨소시엄을 대상으로 제품의 생산 접근 및 도로 통행 시범사업 계획 제시 
- ‘24년 1월 ‘커넥티드카 차량-도로-클라우드 통합 응용시범에 관한 통지’ 발표          
* 베이징의 경우, ‘차량-도로-클라우드 통합 신형 인프라 프로젝트’에 총 99.4억 위안을 투입해 도시 내 2324㎢ 구역의 전체 6050개 도로변에 대한 스마트 개조 추진 예정(′24.5) 
○ 이번에 처음으로 차량 제품의 유형, 운행 도시의 특징, 신고한 자율주행 기능, 기업의 테스트 시범 기반 등 요소를 종합적으로 고려해 9개 기업으로 구성된 컨소시엄 선정  
- 제조업체와 운영 주체는 공동으로 연합체를 구성한 후 시범 방안을 작성하고 차량 운행 예정 도시 정부의 동의를 거쳐 최종 공업신식화부에 신청 
- 선정 기업은 BYD, 제1자동차그룹, 창안자동차그룹 등이 해당되고, 차종은 승용차, 객차, 화물차 모두 포함되어 있으며, 운행 지역은 베이징, 상하이 등 7개가 선정
 
 
○ 향후 9개 컨소시엄을 대상으로 생산 접근 시범, 도로 통행 시범, 시범 중지 및 퇴출, 평가 및 조정 등 단계적으로 시범사업을 추진할 예정 
* 연합체가 시범 대상으로 선정되었다고 해서 해당 커넥티드카 제품이 생산 접근 또는 도로 통행 인허가에 통과된 것은 아님
- 생산 접근 테스트 및 안전 평가, 접근 인허가 2개 단계로 구분하며, 제조업체가 세부적인 방안을 제출해 인허가에 통과되면 생산 접근 유효기간통행 구역 등 제한을 설치  
- (도로 주행 시범) 접근 인허가를 받은 커넥티드카 제품은 공안 교통관리부문에 등록한 후 운영 주체 주도로 제한된 구역 내에서 도로 주행 시범을 추진 가능  
○ 자동차와 신에너지, AI, 정보통신 등 산업 융합을 기반으로 신품질 생산력에 기여할 전망 
- 커넥티드카 제조업체와 시행사 역량 강화 및 커넥티드카 제품의 기술혁신, 산업생태계 건설 추진
- 시범 실증 관련 법률 규정, 관리 정책 및 표준 시스템을 구축하고, 커넥티드카 테스트 및 안전 평가 등 지원 
- 커넥티드카 양산 및 응용 가속화
 
 
<참고자료>
工信部等四部门有序开展智能网联汽车准入和上路通行试点
【解读】智能网联汽车准入和上路通行试点工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