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가발전개혁위원회, ‘도시 디지털 전환 지도 의견’ 발표 | ||
|
||
|
□ 빅데이터, AI, 블록체인, 첨단 컴퓨팅, 미래 네트워크 등 핵심 디지털 기술 통합 응용 강화 (5.14)
○ 국가발전개혁위원회 등 4개 부처*는 현대화 도시 건설을 추진하기 위해 ‘도시 디지털 전환 지도 의견’을 발표
* 국가발전개혁위원회, 국가데이터국, 재정부, 자연자원부 등 4개
- 스마트 도시 건설 관련 AI 등 디지털 기술과 데이터 융합의 중요성 증가
- (목표) ′27년까지 특색을 갖춘 스마트 도시를 건설하고, ′30년까지 디지털 문명 시대의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중국식 현대화 도시 육성
○ 주요 과제로 디지털화 범용 기반, 도시 디지털경제, 신형의 산업 및 도시 융합 발전, 도시 정밀 거버넌스, 디지털 공공서비스, 그린 및 디지털화 주거환경, 도시 보안 수준 등 7대 방향 제시
1) 디지털화 범용 기반 구축
- 통합 계획, 통합 아키텍처, 통합 표준 등 도시 운영 및 거버넌스를 위한 지능형 허브 구축 및 도시 범용 지원 플랫폼 구축
- AI 기술 기반 지능형 분석, 지능형 조율, 지능형 모니터링을 장려
- 도시 정보 모델, 시공간 빅데이터, 토지 및 공간 기본 정보 등 통합 개발 장려
2) 도시 디지털 경제 발전
- 스마트 농업, 산업 인터넷 대규모 적용을 가속화 하며, 금융 및 물류 등 생산 서비스업과 상업 및 무역, 문화 관광, 의료 등 디지털 전환 촉진
- 빅데이터, AI, 블록체인, 첨단 컴퓨팅, 미래 네트워크, 위성 원격 탐사, 3D 모델링 등 핵심 디지털 기술 통합 응용 강화
- 데이터 산업 육성, 데이터 공급업체 등 전문 서비스 기관 육성
3) 신형 산업 및 도시 융합 발전 촉진
- 생산 공간과 생활 공간의 통합이라는 디지털 시나리오를 혁신하고, 도시 공간 개발 및 활용에 대한 빅데이터 분석을 강화
- 상업 지구 인프라에 대한 지능형 업그레이드 등 도시 ‘디지털 개선’을 가속화하고, 산업 및 도시 융합의 디지털 서비스 수준을 향상
- 가상 산업단지와 지역 간 협력 혁신 플랫폼을 개발하며 도시 디지털 경제의 고용 유치 강화
4) 도시 정밀 거버넌스 추진
- 도시 디지털 전환과 도시 재개발, 공간 최적화, 산업 발전, 농촌 활성화, 사회 신용 등 주요 전략·정책과의 연결 강화
- ‘통합 네트워크’ 건설을 추진해 도시 계획, 건설, 관리, 운영 및 유지 보수 등 전체 과정의 데이터 통합 촉진
- 도시 운영 및 거버넌스의 지능형 허브에 의존해 공공 안전, 계획 및 건설, 도시 관리, 비상 통신, 교통 관리, 시장 감독, 생태 환경 등 분야 상황 인식, 지능형 조사 및 민첩한 대응 실현
5) 디지털 공공서비스 다양화
- 디지털 기술과 교육, 의료, 주택, 고용, 양로 등 공공서비스 융합 촉진
- 스마트 케이터링, 스마트 여행, 디지털 홈 등 디지털 라이프로 디지털 소비를 위한 랜드마크 구축
6) 그린 및 스마트화 주거환경 개선
- 도시 지리 정보의 공공서비스 역량을 강화하고 토지 및 공간 기본 정보 플랫폼의 스마트화 수준 향상
- 주요 산업 및 지역의 탄소 배출량 모니터링 및 분석을 수행하고, 산업 단지 및 상업 지구에 탄소 제로 스마트 파크와 녹색 지능형 건물 건설
7) 도시 보안 수준 향상
- 도시 네트워크 보안 모니터링, 조기 경보 및 비상 대응 메커니즘을 개선하고 통신 네트워크의 복원력 향상
- 도시 데이터 수집, 저장, 사용, 처리, 전송 및 보안 감독 강화
<참고자료>
国家发展改革委 国家数据局 财政部 自然资源部, 关于深化智慧城市发展 推进城市全域数字化转型的指导意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