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향 게시판

게시글 제목, 작성일, 조회수, 내용을 포함합니다.

중앙인터넷정보판공실 외, 디지털화·녹색화 협동 전환 발전 실시방안 발표
  • 등록일2024.09.06
  • 조회수411
우만주 (yumanshu87@naver.com)
 
□ 중국의 디지털화와 녹색화 협동 전환 발전을 위한 구체적인 방향과 전략을 제시(24.8.26)
○ 중국 중앙인터넷정보판공실, 국가발전개혁위원회, 공업신식화부 등 10개 부처는 ‘디지털화·녹색화 협동 전환발전 실행방안’과 ‘3(주체)+2(방향)+3(방안)’의 프레임워크를 발표
 
 
○ 동 방안의 추진 주체를 정부와 부처, 대학·연구기관과 협회, 기업 등 3대 ‘실행 주체’로 규정
- (정부) 디지털화와 녹색화 협동 전환을 통합적으로 관리·실행
- (기관) 산학연협력을 통해 기술의 연구개발과 혁신을 추진하고 기술사업화·산업 육성 가속화
- (기업) 디지털화와 녹색화 협동 전환의 핵심 주체로서, 디지털 기술 혁신을 통해 녹색 전환을 추진하고 기업의 디지털화·녹색화 수준 향상
 
 
○ 추진 방향으로 디지털 산업의 녹색 저탄소 발전, 디지털 기술을 통한 녹색화 전환으로 설정
- (디지털 산업의 녹색 저탄소 발전) 녹색 데이터 센터, 녹색 기지국 등 인프라 건설을 강화하고 전자 정보 제품의 녹색 제조 수준을 향상시키며, 디지털 기술 기업이 녹색 공급망, 에너지 전환 촉진 및 전통 산업의 업그레이드를 지원하도록 추진
- (디지털 기술을 통한 녹색화 전환)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여 전력, 채광, 야금, 석유화학, 교통, 건축, 스마트 도시, 현대 농업, 생태 환경 관리 등 9개 주요 산업에서의 녹색화 전환을 강화하고, 지속 가능한 발전을 도모
 
 
 
○ 주요 내용으로 기초역량 강화, 융합 기술 체계 구축, 융합 산업 체계 발전 등 3대 추진방안 제시
- (디지털화·녹색화의 기초역량 강화) 데이터 자원 관리, 탄소배출 모니터링, 에너지 최적화 등 디지털화 및 녹색화의 기본 역량을 강화
- (디지털화·녹색화의 융합 기술 체계 구축) 디지털 및 녹색 융합을 위한 기술 체계와 표준을 수립하고, 혁신 환경을 조성하여 기술 발전을 촉진
- (디지털화·녹색화의 융합 산업 체계 발전) 융합 산업 및 산업 클러스터를 형성하고, 공공 서비스 지원을 강화하여 녹색 경제 성장을 촉진
 
 
□ 시사점 
○ ′22년 11월, 시진핑 주석이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제29차 정상회의에서 디지털화와 녹색화의 협동 발전을 가속화하고, 에너지 자원·산업 구조·소비 구조의 전환을 촉진하며, 경제사회의 녹색 발전을 촉진해야 한다고 강조한 후속 조치로 중국 정부는 ‘신발전 이념 달성을 위한 탄소중립 업무에 관한 의견’(21.10월),‘디지털 중국 건설 규획’(23.2월)과 ‘경제·사회 발전의 전면적 녹색 전환 가속화에 관한 의견’(24.8월) 등 정책들이 디지털화·녹색화의 협동 전환 발전에 대한 중요한 방향성을 제공
- 이러한 배경에서, 중앙인터넷정보판공실이 주도하고 10개 국가 부처가 공동으로 디지털화· 녹색화 협동 전환 발전 실현을 위한 구체적인 부문별과 산업별 업무지침을 제정
 
<참고자료>
(24.08.26, 中央网信办) 关于印发《数字化绿色化协同转型发展实施指南》的通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