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향 게시판

게시글 제목, 작성일, 조회수, 내용을 포함합니다.

공업신식화부, ‘스마트제조 기술 응용 가이드 40선’ 발표
  • 등록일2024.10.11
  • 조회수716
조경매 (kmcho@kostec.re.kr)
 
□ (배경) 중국 정부는 ‘제조 강국’ 도약을 위해 14.5규획 기간에 ‘산업인터넷 혁신개발 실행계획(′21~′23)’, ‘스마트제조 발전 14.5규획’, ‘제조업 디지털 전환 행동계획’ 등 스마트제조 정책을 잇달아 추진
○ 국무원 차원에서 가장 최근에 발표한 ‘제조업 디지털 전환 행동계획’ (′24.5월)에서는 ′30년까지 규모 이상 공업기업의 디지털화 전환을 기본적으로 완성한다는 비전을 제시함
 
 
○ 이런 정책에 힘입어 중국은 ′23년 12월 기준 세계에서 가장 선진적인 공장으로 불리는 ‘등대공장’(灯塔工厂)* 62개를 육성해 전 세계(153개)의 약 절반 비중을 차지  
* 등대공장은 사물인터넷(IoT), 인공지능(AI), 클라우드 등 4차 산업혁명의 핵심기술을 도입해세계 제조업의 미래를 이끄는 공장을 의미하며, 다보스 세계경제포럼과 경영 컨설팅 회사인 맥킨지가 협력하여 선정함
 
□ 이번에 공업신식화부는 스마트제조의 체계적인 고도화를 추진하고자 ‘스마트제조 기술 응용 가이드 40선(2024년판)’를 발표하고 총 15개 단계의 40가지 응용 시나리오를 제시함(24.9.29)
○ (목표) 제품 전체 생애 주기, 생산 제조 전 과정 및 공급망의 핵심 문제를 대상으로 스마트제조 장비, 산업 소프트웨어 및 시스템을 배치하여 협업 및 자율 특성을 갖추고 특정 기능과 실제 가치를 실현하는 응용 프로그램을 구축
○ 주요 과제로 스마트 공장 단계별 육성, 스마트제조 시스템 솔루션 개발, 스마트제조 표준 체계 구축 등의 작업을 위한 참조 지침으로 사용할 수 있는 15개 단계의 응용 시나리오 제시
 
 
□ 시사점          
○ 중국은 기업의 스마트제조 기술 응용 수준이 높지 않고, 산업 망 내 기업 간 협력 정도가 낮아 완전한 스마트제조 생태계를 형성하기 어려운 상황인데, 이번에 발표된 40가지 응용 시나리오로 스마트제조업의 분류체계를 한층 더 명확히 하고, 스마트화 기술혁신을 기반으로 더욱 경쟁력 있는 생산 체계를 갖추며, 지속 가능한 운영과 비용 절감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
 
<참고자료>
(24.9.29,工业和信息化部)工业和信息化部办公厅关于印发《智能制造典型场景参考指引(2024年版)》的通知
(24.9.29,工业和信息化部) 工信部发布《智能制造典型场景参考指引(2024年版)》| 附图解