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향 게시판

게시글 제목, 작성일, 조회수, 내용을 포함합니다.

중국인터넷정보센터, 2024년 생성형 AI 응용 발전 보고 발표
  • 등록일2024.12.13
  • 조회수1179
정리 (miouly@naver.com)
 
□ 중국 인터넷 정보 센터(CNNIC)는 제5회 중국 인터넷 기초자원 포럼에서 ‘생성형 AI 응용 발전 보고서(2024)’를 발표함(24.12.3)
(정책 동향) 중국은 인공지능(AI) 산업의 지속적 발전을 위해 인재 양성, 기술 혁신, 세제 혜택, 지식재산권 보호 등 다각적 지원 정책을 추진
- 중앙 정부는 ′16~′20년 AI 관련 정책을 주로 발전 계획 수립과 인재 양성에 초점을 맞췄으나, ′20년 이후, 특히 ′23년부터는 표준화 체계 구축과 산업 규범 정비에 중점을 두고 있음
- 지방 정부는 ′23년 1월부터 ′24년 9월까지 16개 성(省)급 행정구역(또는 주요 도시)에서 ‘인공지능’을 주제로 한 산업 실행 계획 및 정책을 발표하여 지역별 지원을 강화
 
 
(투자 현황) ′24년 1~3분기 동안 중국에서 발생한 AI 관련 투자 및 금융 조달 건수는 총 504건이며, 투자 금액은 약 812억 위안에 달함
 
 
- 분야별로는 AI 자체 응용과 전통 산업 응용이 각각 27.4%(138건)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으며, 로봇 관련 분야가 23.6%(119건), AI 하드웨어와 기술은 15.7%(79건)를 기록
- 지역별로는 베이징이 총 436억 위안(53.7%)으로 가장 많은 투자가 이루어졌으며, 상하이(13.8%), 광둥성, 선전, 저장성 등이 50~80억 위안의 투자 규모를 기록
 
(산업 규모) 현재 중국은 4,500개 이상의 AI 관련 기업과 약 6,000억 위안에 이르는 핵심 산업 규모를 보유
- ′24년 상반기 기준, AI 기업 수는 전년 대비 35.65% 증가했으며, 생성형 AI 대규모 모델은 190개 이상이 등록·운영 중임
- ′24년 11월 기준, 등록된 생성형 AI 제품은 총 309개로, 베이징(31.1%), 상하이(27.2%), 광둥성(11.7%)이 높은 점유율을 기록
 
(사용자 현황) ′24년 6월 기준, 중국의 생성형 AI 제품 사용자 수는 약 2.3억 명으로 전체 인구의 16.4%를 차지
- 바이두의 운신이옌(文心一言), 360의 즈나우(智腦) 등 중국산 생성형 AI 제품은 사용자층에서 광범위하게 활용되고 있으며, OpenAI와 구글 등 해외 기업의 제품 또한 일정한 사용자를 확보하고 있음
 
 
<참고자료>
(2024.11.中国互联网络信息中心) 生成式人工智能应用发展报告