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향 게시판

게시글 제목, 작성일, 조회수, 내용을 포함합니다.

중국 ICT 경쟁력 현황
  • 등록일2024.12.06
  • 조회수643
조경매(kmcho@kostec.re.kr), 정리(miouly@naver.com)
 
□ (기술력) 한국 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의 ‘ICT 기술 수준 조사 및 기술경쟁력 분석 보고서’('24.3월)에 따르면, 지난 2022년 기준 ICT 평균 기술 수준이 가장 높은 나라는 미국이며, 중국은 3위를 기록
* IITP는 AI, 지능형 반도체, 양자정보통신 등 18대 중점 분야의 74개 기술의 경쟁력을 비교·분석함
 
 
○ 특히, 중국은 이동통신(98.5%), 양자정보통신(99.1%), 지능형 반도체(92.3%), 자율주행 자동차(95.4%), 인공지능(92.5%) 등에서 미국에 근접한 수준을 유지
 
 
□ (인프라) ‘동수서산(東數西算)’ 빅 프로젝트 추진을 통해 현재 세계 2위의 컴퓨팅 파워 형성 
- 중국은 22년 9월 기준 총 4,000억 위안(약 77조 5800억 원)을 투자해 ‘동수서산(東數西算)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동부 지역의 데이터를 서부 지역으로 전송해 처리하는 디지털 인프라를 구축
- 핵심 사업은 징진지(京津冀) 등 8대 국가 연산력 허브 노드와 장자커우(張家口) 등 10대 국가 데이터센터 클러스터 육성임
 
 
○ 중국의 총 컴퓨팅 파워 규모는 246엑사플롭스(EFLOPS)로 세계 2위를 기록(′24.10월) 
- 중국은 404.2만 개의 5G 기지국을 보유, 이는 전 세계 5G 기지국의 60%를 차지(′24.8월)
- 인터넷 사용자 수는 10억 9967만 명으로 인터넷 보급률 78.0%에 달함(′23.6월)
- 중국의 데이터 저장량은 724.5EB로, 전 세계 저장량의 14.4%를 차지(′22년 말 기준)
 
□ (디지털경제) ′23년 기준 중국의 디지털 경제 규모는 53.9조 위안(약 7조 3,885억 달러)으로 미국에 이어 2위를 차지
○ 디지털 경제의 핵심 산업 부가가치는 GDP의 10% 차지, 클라우드 컴퓨팅·빅데이터·사물인터넷 등 신흥산업의 전체 ICT 산업 수입 대비 비중은 '23년에 21.2%를 기록 
- 누적치 기준 62개 ‘등대 공장’*을 건설하여 글로벌 전체 40%에 해당
* 사물인터넷, 5G, AI 등 신기술을 적용하는 글로벌 선도적 수준의 지능형 제조공장으로 세계 경제포럼에서 선정
- 국가급 스마트제조 시범공장 수는 421개, AI·디지털 트윈 등 첨단기술이 90% 이상의 스마트제조 시범공장에서 응용 중, AI 핵심 기업 수는 4,500여 개로 집계
 
 
□ (정책) 데이터 사업을 전담하는 국가데이터국을 신설하고 ‘생성형 인공지능서비스 관리 방법’ 등 규제 정책을 수립  
○ 국가발전개혁위원회와 중앙사이버보안·정보화위원회의 기능 일부를 이관 받아 국가발전개혁위원회 산하의 독립적 업무를 수행하는 국가데이터국(차관급)을 신설(′23.10.25)
 
 
○ 중국은 생성형 AI 규제, 데이터 보안법, 스마트 제조 가이드라인 등의 정책으로 기술 혁신과 보안 간 균형 추진
 
 
<참고자료>
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 2022년도 ICT 기술수준조사 및 기술경쟁력분석 보고서
(2024.09.24.政府网)从11.2万亿元到53.9万亿元
(2023.3.7, 搜狐), “东数西算”一周年,有哪些成果和难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