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5년 중국 양회의 핵심 의제는? 내수 확대·AI 혁신·무역 협력… | ||
|
||
|
□ 2025년 중국 양회 개막을 앞두고 경제 성장 안정화, AI 중심 기술 혁신, ‘일대일로’ 협력 강화 등이 핵심 의제로 예상되며, 거시경제 조정 및 글로벌 협력 전략에 대한 정책 방향이 주목받고 있음(25.2.28)
* 양회는 전국인민대표대회(全國人民代表大會’)와 전국인민정치협상회의(全國人民政治協商會議)를 통칭하는 것으로, 중국 최대 규모의 정치 행사로서 국가 운영 방침 결정, 주요 정책 심의 및 승인, 지도부 선출 및 인사, 사회 문제 논의 및 해결 등 결정하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
○ 최근 3년간 중국 양회는 과학기술 발전의 주요 정책 플랫폼으로서 핵심 역할을 수행하며, 국가 차원의 기술 혁신 방향을 제시
![]() ○ 2025년 중국 양회는 ‘14·5 계획’의 최종 마무리와 ‘15·5 계획’ 수립을 위한 전환점으로, 향후 중국의 경제 및 과학기술 발전 방향을 결정짓는 중대한 정책적 이정표가 될 전망임. 특히, 거시경제 조정, 인공지능 및 디지털 경제 육성, ‘일대일로’ 협력 강화 등이 핵심 의제로 논의될 것으로 예상됨
1. 경제 분야, ‘안정 속 성장’ 기조 유지 및 내수 활성화
- 중국 정부는 2024년 중앙경제공작회의에서 설정한 경제정책 기조를 유지하며, 2025년 경제 성장률 목표를 5% 내외로 설정할 가능성이 높음
- ‘내수 확대(大規模消費升級)’가 주요 정책 방향으로 자동차·가전·주택 개보수 등 내구재 소비 활성화를 위해 ‘신구 교체(以舊換新)’ 정책 지속 추진할 전망
* ′25년 1월 중국 정부는 자동차·가전·디지털 기기·가정용품·전기자전거 등을 대상으로 대규모 소비 업그레이드 및 ‘신구 교체’ 정책을 발표하여, 소비 촉진·시장 활성화·경제 고도화를 추진
- 글로벌 경제 둔화 및 무역 불확실성 증가에 대비하여, 내수 중심 성장 전략을 강화하고, 해외시장 다변화를 통해 수출 리스크를 분산할 가능성이 높음
2. 과학기술 분야, AI 중심 혁신 및 신형 생산력 구축
- 중국 정부는 AI 중심의 기술 혁신을 가속화하며, DeepSeek 등 대형 AI 모델 발전을 통해 글로벌 AI 경쟁에서 우위를 확보하고, 스마트 제조 및 디지털 경제 확산을 위한 정책적 지원을 강화할 것으로 전망됨
- 리튬이온·나트륨이온 배터리, 반도체, 항공우주 등 전략 기술의 국산화율을 지속적으로 확대하여, 핵심 기술 자립을 가속화할 가능성이 높음
* 중국은 ‘중국제조 2025’ 및 ‘14차 5개년 계획’을 통해 핵심 기술의 자립과 산업 경쟁력 강화를 국가 전략적 우선 과제로 설정하고, 반도체·배터리 등 첨단 기술의 국산화율을 2025년까지 70%로 확대하는 목표를 추진 중임
- 탄소중립 목표(2060년) 달성을 위한 신에너지·전기차·배터리 산업 육성 정책을 적극 추진하며, 친환경 산업 전반의 경쟁력 강화를 도모
3. 국제 협력 분야, ‘일대일로’ 협력 강화 및 글로벌 거버넌스 참여 확대
- 인프라 건설, 디지털 경제, 녹색 경제 협력을 중심으로 ‘일대일로’ 연선 국가와의 협력을 확대하며, 특히 시리아 등 전후 복구 국가와의 협력을 통해 인프라 및 경제 재건 지원을 강화할 가능성이 큼
- RCEP(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 활용을 통한 아시아 시장 확대 및 중국-유럽, 중국-중동 간 무역 협력 강화를 추진하여, 대외 경제 협력 다변화를 도모할 것으로 예상됨
- AI, 스마트 도시, 의료·교육 기술 등의 글로벌 협력 모델을 구축하여 국제적 영향력을 확대하고, 첨단 기술 분야에서의 국제 협력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전망
<참고자료>
(25.2.27,中国科技网), 2025年全国两会新闻中心启用
(25.2.28, 中国青年报) “两会时间”将启 世界期待中国“开局蓝图”
(25.2.19, 大公网)中国两会即将启幕 外国专家关注这些关键词
작성자: 정리 연구원(miouly@naver.com)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