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글로벌 리더로 부상하는 중국의 양자컴퓨팅, 3단계 전략으로 확장 가속화 | ||
|
||
|
□ (경쟁력) 중국은 양자 기술을 국가 전략적 핵심 분야로 지정하고, 정책 지원, 대규모 투자, 특허 경쟁력 강화 및 산업 성장을 통해 글로벌 양자 컴퓨팅 선도국으로 부상
○ (정책) 중국 정부는 양자 기술을 전략적으로 육성하고 있으며, 특히 ‘제14차 5개년 계획(′21~′25)’에서 양자 기술을 7대 핵심 기술 분야 중 하나로 선정해 국가 차원의 연구개발을 적극 지원
○ (투자) ′22년 맥킨지(McKinsey)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의 양자 기술에 대한 공공 자금 투자 규모는 153억 달러로, 이는 미국 정부 투자(19억 달러)의 8배, 유럽연합(EU) 전체 투자(72억 달러)의 2배 이상에 해당
○ (특허) ′24년 기준, 중국은 양자 컴퓨팅 기술 특허 보유량(3,217건)에서 미국(2,740건)을 넘어 세계 1위를 기록. 특히, 중국 기업 본원양자(本源量子)는 미국 IBM을 제치고 세계 양자 컴퓨터 공개 특허 보유 1위 기업으로 부상
○ (산업) 사이디컨설팅(賽迪)에 따르면, ′25년 중국 양자 컴퓨팅 산업 규모는 115.6억 위안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며, 연평균 30% 이상의 성장률을 유지할 것으로 보임. 특히, 양자 컴퓨팅이 전체 양자 기술 산업에서 41.2%의 비중을 차지할 것으로 분석
□ (발전 단계) 중국은 양자 컴퓨팅 연구개발을 기초 연구에서 산업화까지 체계적으로 발전시켜왔으며, 특히 ‘본원우공(本源悟空)’ 출시를 통해 국산 양자 컴퓨터의 상용화 및 산업적 확장 기반을 마련
![]() □ 안후이(安徽)성 양자컴퓨터공학연구센터에 따르면, 중국 제3세대 초전도 양자 컴퓨터 ‘본원우공’의 글로벌 접속량이 2,000만 건을 돌파하며, 중국 자국산 양자 연산 서비스의 새로운 기록을 경신(25.2.14)
○ (글로벌 확산) ‘본원우공’은 현재 139개국(지역)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해외 사용자 중 미국, 러시아, 일본 등의 국가에서 활발하게 활용되고 있음. 특히, 미국은 지속적으로 해외 접속량 1위를 기록
○ (산업 적용) ′24년 1월 6일 운영 개시 이후 금융, 바이오메디컬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33.9만 건 이상의 양자 연산을 수행
![]() <참고자료>
(25.01.01, 美国之音) 世界步入“量子科技年”:一文了解美中在量子技术上的竞争态势
(24.11.21, 日经中文网) 日媒:中国量子技术存在感加强,本源量子专利超美国IBM居首
(25.02.14, 科技日报) “本源悟空”全球访问量突破2000万次
(25.01.16, 中国工业新闻网)与人工智能深度交汇 2025中国量子计算产业规模将超百亿
(24.08.20,数字中国) “造出中国人自己的量子计算机”
작성자: 정리 연구원(miouly@naver.com)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