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무원, 22대 분야에 ‘첨단 기술 적용’ 추진 로드맵 발표 | ||
|
||
|
□ 국무원은 ‘응용 시나리오 육성과 개방 가속화, 신규 시나리오 대규모 적용 추진에 관한 시행 의견’*을 발표하고, 디지털 경제·AI 등 22개 분야에서 기술혁신의 실증과 상용화를 추진(25.11.07)
* 이번 정책은 신기술을 ‘실험실’에서 ‘시장’으로 옮기기 위한 국가 차원의 대규모 시험터(Test Field) 구축 구상으로, 새로운 기술을 ‘씨앗’에 비유하면 정부는 실제 산업·도시·생활 환경을 ‘시험밭’으로 개방해 기업과 기관이 직접 실험하고 확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방식임
○ (배경) 중국은 ‘제14차 5개년 규획’(′21), ‘디지털경제 발전 가이드라인’(′24) 등에서 과학기술 성과의 산업화와 디지털경제 확산을 핵심 목표로 제시해 왔음
- 중국 첨단기술 제조업의 비중은 꾸준히 확대되고 있으나*, 다수의 핵심 기술이 여전히 실험실을 벗어나 시장에 진입하기 어려운 구조적 한계**에 직면
* 25년 1~3분기 첨단기술 제조업 부가가치는 전년 대비 9.6% 증가(전체 산업 대비 +3.4%p)했으며, 광둥·저장 등 지역에서 로봇·AI 제조 등 첨단기술 산업이 두 자릿수 성장을 기록
** 24년 중국의 R&D 투자액은 3.3조 위안(약 673조 원)을 초과했으나, 기술 성과의 산업 전환율은 약 30% 수준에 머물러 있음
- AI, 스마트 제조, 의료 등 분야의 응용 시나리오가 지역별·산업별로 불균형하게 분포되어 있으며, 혁신 성과가 일부 시범구역에 집중되는 등 단편화 문제가 심화되고 있음
○ (내용) 이번 ‘시행 의견’은 총 22개 적용 분야를 제시하였으며, 신흥산업(디지털경제·AI·바이오·신재생에너지 등)뿐 아니라 제조·교통·농업·물관리·공공서비스 등 기존 산업의 업그레이드형 시나리오까지 포함
![]() ![]() <참고자료>
(25.11.07, 人民政府网) 向“新”发力!加快场景培育和开放重要部署来了
(25.11.07, 人民政府网) 国务院办公厅关于加快场景培育和开放 推动新场景大规模应用的实施意见
작성자: 정리 연구원(miouly@kostec.re.kr)
|

